Etude technique, the´matique des maximes et des proverbes core´ens et francais = 한국과 프랑스 격언, 속담에 나타난 主題 및 技巧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3
작성언어
French
KDC
80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9-162(44쪽)
제공처
소장기관
삶의 철학에서 뿌리를 내린 東西洋의 사상을 확립한 智慧 문학의 주옥들이 格言 俗談이란 이름으로 쉽게 발견되고 있다. 본소고의 의도는 우리의 작품세계와 생활관습에 나타나는 두나라의 格言 및 俗談들을 수집, 구조상의 측면에서 그 문제점들은 分析하고 이차적으로 이 思想들을 主題별로 分類 관심의 대상이 어디에 있는지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끌어 내는데 目的이 있었다.
格言 俗談들을 일종의 訓戒 誡命의 성격을 포함하므로서 듣는 사람들의 주의력을 일깨워주고 나아가서는 모든 사람들이 수궁할 수 있는 단순한 일상의 表現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많은 경우 比喩法 誇張法 人格化의 형태들을 입고 드러나고 있는데 프랑스의 경우를 보면 이웃 성전, 동물, 숲 등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고 한국의 경우는 가정, 절, 물, 산등을 배경으로 많이 그려지고 있다.
Pascal의 Panse´es 및 프랑스의 여러작가들의 作品과 민중의 實習에 나타난 格言俗談들은 유교사상을 주축으로한 동양사상과는 반대로 순수한 의미에서 기독교 사상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 것이다.
전자는 성서학적 차원에서 구원과 타락의 원리에 의해 理解되고 후자는 도덕적 원리에 기반을 둔 유교사상에서 인간실존 및 관습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인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보면 첫째는 평범한 일상의 경험이나 작품들을 통해 낳은 格言俗談들로서 각 나라의 時代的 배경과 地理的환경에 따라 그들의 사상이 교훈적으로 전달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를 보면 봉건사상이 그 배경을 이루고 왕족 또는 귀족적 프랑스의 역사적 흐름이 그 바탕을 이루기도 한다. 나름대로 그들의 고유한 방법과 풍습에 따라 다루고 있는 공동주제는 인간생활을 중심으로한 인간의 문제가 되고 있다.
둘째는 종교 및 도덕적 규범을 통해 나타난 사상적 근원을 이루는 프랑스의 기독교사상과 한국의 유교사상이 있다. 넓은 의미에서 선을 그 근본원리로 세우는 공자의 사상은 抽象的인 개념이 아니라 국가, 부모, 이웃을 대상으로 인간을 존경하고 살해야 한다는 구체적인 의미를 포함하므로서 동양사상의 주축을 이루는 孝道, 誠實, 正義의 미덕을 구현하도록 인도하고 있다. 이러한 가르침은 확고한 국가관을 낳았고 순종의 미덕을 창조하므로서 優位의 개념을 낳은 것이다. 한국의 사상적 배경을 이루고 있는 이 유교사상은 가족의 행복과 사회의 평화를 주축으로 하여 나아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작품과 생활관습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 格言 및 俗談들의 근본사상은 대부분 신·구약성서에서 그 기원을 찾아볼수 있다. 原文자체를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그 의미만을 빌려 다르게 표현하는 경향도 허다하다. 근본적인 가르침은 善을 행하고 악을 피하며 이웃을 사랑하라는 등의 계명이 강조되고 있다.
동양사상은 가족적인 차원에서 강조되고 서양사상은 보편적이고 세계적인 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전자가 倫理관에서 그 중심을 이루었다면 후자는 신앙의 행위 가운데서 참다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실존과 풍습을 말하는 格言, 俗談들은 인간 處世術의 한 원리로서 인내 항구심, 지혜를 미덕으로 찬양하고 풍습과 자연을 노래한다. 하나는 倫理的인 표현이요, 다른 하나는 객관적인 색체가 짙으나 모두가 그나라의 고유한 제스추어로서 인간의 사랑, 인간의 생을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은 이 분류의 장에서 이미 드러나고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