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디지털미디어시대에 있어서 인터랙션의 도입을 통한 애니메이션의 영역 확장과 니치마켓 탐색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Expanding the Animation and Searching for New Niche Markets through Introduction of Interaction in the Era of Digital Med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3-181(-1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has brought great shifts in the field of animation. These shifts have impacted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which is trying to convert its system from the old OEM structure to a new structure that focuses on creative work and cutting-edge technologies. How will animation evolve in the 21st century that witnesses revolutionary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What kinds of strategic counterplans will we have to devise to cope with this situation? The call for systematic change in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posed these questions, which was expedited by the recent growth of the OEM animation industry in several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and India. The systematic change does not only mean inventing magical animation stories that will make a big hit, but it means that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has to improve its competitive edge by promoting creative activities in high-tech, diversified fields of work.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tak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o converge what we've learned from other fields. In this sense, the introduction of 'interaction' to the field of animation, which leads core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Digital Media Era, has made a turning point that animation has grown to become the art and industry that appeals to digital friendly consumers. In addition to the expansion in the realm of animation, the introduction of 'interaction' to animation has also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niche market.
더보기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분야는 큰 전환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수십 년 간 지속되어오던 OEM구조에서 창작기획 및 기술집약적 산업구조로 방향을 선회하고자 하는 국내 애니메이션계의 의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렇다면 정보혁명 이라고 불리는 21세기의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진화할 것인가? 그리고 우리의 전략적 대처방안은 어떠한 것들인가? 이러한 문제제기는 최근 중국, 인도를 비롯한 제3국의 애니메이션 OEM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산업 구조적 변화에 대한 강력한 요구에서 비롯된다. 여기서 구조적 변화는 단순히 흥행에 성공 할 수 있는 스토리를 개발하는 차원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국내 애니메이션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첨단화되고 다변화된 분야에서의 창조적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인접학문 및 다른 분야와의 융합 및 분화되는 과정이 필요 하다. 정체성을 잃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도입하고 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변화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디지털미디어시대의 핵심적인 지식과 기술을 선도하는 인터랙션의 도입은 애니메이션이 보다 디지털에 익숙한 수용자 중심의 밀착형 예술분야 및 산업으로 변화 및 발전해 나가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애니메이션 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니치마켓(Niche Market)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