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반도 통일의 인류 보편적 가치: = Korean Unification and Global Public Goo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7-114(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그 동안 한국의 학계에서는 한반도통일의 가치를 주로 안보적 또는 경제적 편익(便益)의 관점에서 논의해 온 경향이 있다. 인문학적 통일담론은 안보적·경제적 편익 관점의 한반도통일 가치논의를 극복하려는 시도를 했으나,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한(韓)민족의 동질성 회복이나 분단 트라우마(trauma) 치유 등에 천착하며 한반도에만 분석의 초점을 맞춘 통일가치 논의를 진행해 왔다. 한반도통일은 한민족에게 안보위협의 제거와 경제적 번영이라는 편익을 가져다 줄 것이지만, 이를
초월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기여하는 “국제공공재(國際公共財: public goods)”의 역할을 할 것이다. 통일로 인해 발생할 긍정적 효과를 수혜할 대상도 한반도를 넘어 동북아로, 그리고 국제사회로 확장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일은 국제분쟁과 화해의 역사에 매우 긍정적인 메시지를 제공할 것이다. 해결이 불가능해 보이는 고질적인 분쟁도 해결될 수 있고 따뜻한 공동체로 전환될수 있다는 매우 긍정적인 이벤트로 세계사에 기록 될 것이다. 이 밖에도 통일은 비확산의 규범과
국제인권이라는 인류보편적 가치에 기여를 하게 된다. 지구온난화에 대처하는 국제 거버넌스에도 일정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한반도 “행복공동체”를 건설한다면 한계에 봉착한 듯해 보이는 자유주의 경제제도와 정치제도의 희망이 될 수도 있다. 통일의 국제공공재적 가치에 대한 담론 형성은 대한민국의 통일공공외교의 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켜 국제사회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합의 도출에 정책적 기여를 할 수 있다.
Much of the discussion on Korean Unification and its values have revolved around economic and security benefits that unification would bring to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e paper claims that the benefits of the Korean Unification would go beyond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they would exten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fore, Korean Unification would be a world historical event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ore specifically, the Korean Unification can contribute to many issue areas of international relations such as non-proliferation, human rights, environmental protection, human trafficking, and money laundering.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one of the world’s major zones of conflict. By resolving the conflicts on the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can impart a positive message to the world that seemingly intractable conflicts can be resolved if we put in
good faith efforts. Successful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means that two very different societies – one that is quite rich and the other, very poor – can be integrated into one society with proper policies. The Korean Unification can work as a model for solving polarization of incomes and inequalities associated with the unfettered advance of Globalization. Emphasizing the nature of the Korean Unification as international public goods would enhance our public diplomacy efforts to elicit international support for a policy of Korean unific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