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등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현장 경험 탐색: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Focusing on Gangwon-d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69-101(33쪽)
제공처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secondary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various areas of inclusive education. [Method] Eight middle-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and subsequent analysis revealed 4 main themes and 16 sub-themes.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vary,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school, the maturity level of the students, and their degree of disability.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a wide range of task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y feel that, rather than cooperation, there is a lack of committed support, of guidance for individual students, and of guidance relating to full-time special-class students. Third, for the essential elements for inclusive education are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unbiased awareness, ready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preparation of disabled students to become a membe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order to advance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y, to maintain cooperative relationships, to provide ongoing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led students, and to support full-time special-class stu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discussions should be held on the role of special teachers and on areas in the field of inclusiv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ere support is particularly needed. Follow-up studies are recommended.
더보기[목적] 본 연구는 다양한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중등 특수교사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중등 특수교사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 면담과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은 학교 유형과 규모, 학생들의 성숙도, 장애 정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여러 가지 업무를 담당하며 통합교육 현장에서 협력보다는 일방적 지원과 학생 생활지도,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 지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는 통합학급 교사의 편견 없는 바른 인식과 준비된 특수교사, 구성원이 되기 위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준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사 역량 강화와 협력관계 유지, 지속적인 장애인식개선 교육, 전일제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등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사 역할 및 지원영역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