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이강백의 희곡 「파수꾼」에 나타난 순환 구조 = The structure of cycle in a drama of 「A watchman」 written by Yi Gang-Ba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42(22쪽)
제공처
1970년 대 이강백의 희곡을 그 당시 정치적 상황의 알레고리로 이해하는 것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지나치게 밀접하게 연관지음으로 작품의 본질을 제대로 보지 못한 협소하고 자의적인 해석이라고 하겠다. 작품 자체의 충실한 분석이 작품에 대한 올바른 이해이며 보다 작품의 본질에 접근한 분석이라고 보고 본고에서는 「파수꾼」의 작품 해석에 주력하면서 작품의 구조를 네 가지 관점에서 보았다.<BR> 첫째는 폭력의 순환구조로 작품 속의 등장인물들은 모두 폭력에 노출되어 있는데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고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바뀌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폭력은 고리처럼 연결되어 순환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BR> 둘째는 인물의 순환구조로 희곡 「파수꾼」에 등장하는 파수꾼 ‘다’는 극의 진행에 따라 서서히 진실을 알게 된다. 그러나 진실을 알게 되었다는 이유로 망루를 떠날 수 없는 파수꾼의 삶을 살게 되는데 파수꾼 ‘다’의 삶은 진실을 은폐하면서 살아가는 파수꾼 ‘가’와 ‘나’의 삶이 순환되는 구조임을 보여준다.<BR> 셋째는 위기 조장의 순환으로 파수꾼 ‘가’의 반복적인“이리떼다”란 외침은 희곡「파수꾼」의 기본 구조가 되고 있으나 이 반복은 그대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희곡 「파수꾼」에서 마을의 상황은 전혀 변화되지 않으나 관객과 파수꾼 ‘다’는 극의 진행에 따라 진실을 인식하게 되는 변화의 과정을 겪게 된다. 즉 상황이 단순한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극의 마지막은 변화의 과정을 거쳐서 다시 시작의 시점으로 되돌아 오는 순환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다.<BR> 넷째, 작가는 인간 존재를 「파수꾼」에서 비극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등장인물 모두는 비극적인 삶의 소유자들이다. 등장인물들은 진실이 왜곡된 부조리한 상황의 반복으로 인해 삶의 두려움, 불안감, 외로움 등의 심리적 폭력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인간 개인의 힘으론 그 폭력적인 삶 속에서 결코 헤어날 수 없으며 진실이 왜곡된 모순된 부조리한 삶을 이어가게 된다. 이강백은 「파수꾼」에서 인간의 부조리한 현실은 순환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인간 존재는 비극적이라는 메시지를 드러내고 있다.<BR> 이상에서 「파수꾼」은 알레고리라는 문학적 장치를 통해 당대 1970년 대의 정치적 시대상 만을 단순하게 드러낸 작품이 아니라 부조리한 현실이 순환되는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인간 존재의 보편적인 비극성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즉, 진실이 왜곡되고 폭력이 내재된 현실을 살아 갈 수 밖에 없는 현대인들의 비극적인 삶을 표현한 것이라 보는 시각이 보다 작품의 본질에 접근한 해석방법일 것이다.
더보기Many of his(yi Gang-Bak) drama understanded that an allegory of the political written by 1970s. But That is too much arbitrary and limited definition with political states. It is important to get out of external standpoint and necessary to understand drama itself. So This article showed the structure of drama with a point of view through four ways that emphasis on understand of drama itself.<BR> First, The structure of cycle in violence. This drama"s all characters were suffered the violence. And the harmer and suffer"s states were changed and cycled.<BR> Second, The structure of cycle in character. All watchman"s life were repeated. Because They were absurd in pervert of truth and the state were not changed.<BR> Third, The structure of cycle in promotion of crisis. The promotion of crisis in drama is repeated but it is different beginning and ending. because the states were changed slowly after did over again.<BR> Forth, Man is a tragedy being. All characters have a tragic state in 「A watchman」. Because they were absurd in pervert of truth.<BR> To understand A watchman"s allegory is continuous with a political states by 1970s is arbitrary and limited definition. To understand of drama itself A watchman"s allegory is continuous with the tragedy of human being that is universal truth in modern people"s tragedy life. And this way clos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 watchman.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