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베트남 응우옌 왕조와의 비교- = Changes of diplomatic policy in the 19th Century of Chosŏn - Comparison with the Nguyen Dynasty of Vietnam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178(38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소장기관
After King Chŏngjo(정조) passed away, Chosŏn saw the coming of in-law politics. One of his major achievements, recruiting from diverse classes and groups was given up, and the national affairs were taken care of by certain families. As Hŭngsŏn Taewŏn'gun(흥선대원군) came into power, the in-law governance seemed to end on the outside. But his regime was heavily painted by ln-law colors, too. After King Gojong(고종) implemented a campaign against the rebels, the Yŏhŭng Mins(여흥 민씨) entered the political scene in large numbers and created a different pattern of in-law politics. It was in the 1880s that a new reform power represented by the enlightenment party emerged, and they made a minority in politics.
In Vietnam, the Nguyen Dynasty was formed after long years of disruption in the late 18th century. Its emperors concentrated on reinforcing the imperial power and centralization.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exercise dictatorship and achieved a certain level of centralization. However, complaints burst out from all classes of society as the power was solely possessed by the emperors and their grips onto local control became tighter. Revolts took place in succession, and social confusion grew worse.
In terms of diplomacy, both Chosŏn and Vietnam followed the order of tribute and submission based on Hwairon. Chosŏn recognized Ch'ŏng Dynasty's position, and the Nguyen Dynasty also maintained the Hwai perspective despite the strong Vietnam- centric ideology. Both of them regarded West as barbarians and were passive with diplomatic negotiations, maintaining the Hwai perspective.
Directly exposed to Western powers, the Nguyen Dynasty received attacks of France in the 1850s and ultimately became its colony. Chosŏn maintained the policy of repelling Western powers while depending on China. As it proclaimed itself, it had no independent diplomacy except for submission to China and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Entering the 1880s, it attempted to change its diplomatic policies, but its attempts went in vain due to the Kapshinjŏngbyŏn(갑신정변). Since then, the Chosŏn government kept pursuing diplomacy of pluralization and tried to respond to external crises.
조선과 베트남은 중국 중심의 조공-책봉 질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던 국가로 19세기에 들어 자본주의 세력의 침탈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19세기 조선과 베트남 양국의 출발은 달랐다. 조선에서 세도 정권이 들어서면서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던 것과 달리 베트남에서는 오랜 분열을 극복하고 응우옌 왕조가 성립하였다. 조선이 세도정치-대원군 집정-고종 친정으로 이어지며 정치적으로 상당한 변화를 겪었던 데 반해 응우옌 왕조에서는 황제 중심의 정치 운영이 지속되어 조선에 비해 정치적 변동성이 작았다.
사대 질서에 편입되어 있었지만 양국의 외교 방향은 제1차 중ㆍ영전쟁 이후 차이가 나타났다. 조선은 제1차 중ㆍ영전쟁으로 중국의 취약성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국을 신뢰하였으며 중국에 의지하여 서양과의 접촉을 철저히 차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대원군 집권기에도 변화하지 않았다. 잠시 프랑스와의 연계를 모색했던 것을 제외하고는 대원군은 서양에 배타적이었고 기존의 사대 외교 정책을 고수하였다. 조선에서 외교 정책의 변화는 고종이 친정 한 이후에야 나타났다. 반면 서양의 힘을 확인한 응우옌 왕조는 유럽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유화책을 구사하는 한편 국방력 강화 작업을 추진하였다. 1847년 프랑스의 공격을 받자 강경책으로 선회하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다원화 외교는 계속 추진되었고 국정을 쇄신하려는 노력도 경주되었다. 응우옌 왕조는 구미 국가들의 지원을 얻고자 했지만 청에 대해서는 1876년 이전까지 아무런 도움을 청하지 않았다.
1880년대에 들어 청이 조공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속방화하는 쪽으로 선행하면서 상황은 복잡해졌다. 청은 베트남을 속방화하기 위해 프랑스와의 전쟁까지 벌였지만 베트남을 프랑스에 넘겨주었다. 베트남에서의 실패를 맛 본 청은 조선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속방화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조선의 반발을 초래하였다. 조선은 청의 기도를 견제하기 위해 기민한 외교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외교를 통해 청의 종속화 기도를 일정 정도 저지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구미 국가의 무관심으로 소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한계도 드러냈다.
외교적인 측면에서 동아시아의 19세기는 전통적인 사대질서와 근대적인 조약체제의 충돌의 시기였다. 조공-책봉이라는 형식이 있기는 했지만 비교적 자주성이 인정되었던 사대교린 질서에서 평등을 가장한 강압적이고 수탈적인 조약체제로 전환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었다. 만약 중국이 중심이 되어 기존의 사대교린 체제를 대등한 관계로 전환시키면서 유대 관계를 강화하여 자본주의 열강에 대항했다면 동남아시아의 상황은 달라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동아시아의 사대교린 질서는 서양 열강의 압력과 중국의 변심에 의해 해체되었다. 또 다른 사대국이 되고자 했던 응우옌 왕조나 충실한 조공국으로 사대질서를 지키고자 했던 조선 역시 사대질서를 새로운 관계로 전환시키는 데 역할을 하지 못했다. 일찍이 근대 조약체제로 나아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식민지로 전락하였고 뒤늦게 뛰어든 조선은 본질상 차이가 없는 열강의 틈바귀에서 고단하게 생존의 길을 모색해야 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7 | 0.87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8 | 2.253 | 0.4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