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탄뎀소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 Methodische Ansätze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urch das Tandem-Lern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3-91(19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Frage, wie die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Erziehungssystems institutionell gefördert werden kann. Die Zunahme ausländischer Studierender an den meisten Universitäten in Korea verlangt eine Intensivierung zur Förderung des interkulturellen Verständnisses. Das Tandem-Lernen ist eine hierzu passende Lernmethode.
Es gibt drei verschiedene Realisierungsmöglichkeiten des Tandem-Lernens zur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der Studierenden im Rahmen des universitären Studiums. Der Tandemunterricht mit zwei Zielsprachen ist eine Möglichkeit davon. Dabei steht das Sprachlernen an erster Stelle, aber da finde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utomatisch statt, da die Sprecher aus zwei verschiedenen Ländern stammen.
Eine weitere Möglichkeit bietet der Tandemunterricht mit über 3 Zielsprachen.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ergibt sich dabei automatisch aus dem kommunikationsstrukturellen Grund. Die dritte und letzte Möglichkeit wird im Curriculum für allgemeine Bildung angeboten. Diese Art des Tandemunterrichts wird hier 'interkultureller Tandemunterricht zur allgemeinen Bildung' genannt. In diesem Unterricht steht die Förderung interkultureller Kommunikationsfähigkeit an erster Stelle.
한국사회가 이미 다문화 사회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앞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문화적 요인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사회 곳곳에서 심화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한국사회로 유입되고 있는 다문화인들의 한국사회 적응교육과 더불어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은 다양한 사회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초·중등뿐만 아니라 고등교육 그리고 평생교육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상호문화 역량 증진 교육 필요성은 한국의 산업구조와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이 있다. 한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한국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로 다양해지고 있다. 무엇보다 수출 지향적 산업구조를 가진 한국에 글로벌 시장 개척은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다.
대학생들이 전공을 불문하고 상호문화 소통능력을 함양하여야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그들이 살아갈 국내외의 생활환경이 이것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상호문화 소통능력 함양은 이에 대한 이론적 지식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사실은 더 이상 논의가 필요 없는 사실이다. 지식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조건에서 상호문화 소통을 경험하면서 노하우를 쌓아야 한다. 오늘날 적잖은 대학생들이 해외여행, 교환학생 참여, 어학연수 등으로 해외에 체류하거나, 국내외에서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하기, 온라인으로 외국인 친구와 소통하기 등을 경험하면서 나름의 상호문화 소통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그런데 우리 가까이에 있고 일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여건과 기회를 충분하게 활용하지 않는 것이 있다. 즉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되고 있는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인 대학생들이 일상적으로 상호문화 소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대학교육 환경의 글로벌화를 대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역량 강화에 활용하는 교육적 수단으로 탄뎀학습을 제안하고, 탄뎀학습이 학생들의 상호 문화 소통 역량 함양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우선 제2장에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에 대한 본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기술하고, 이어 제3장에서 탄뎀학습을 통한 상호문화 소통역량 교육의 특수성과 구현방법을 기술한다. 그리고 제4장에서는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함양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조사한 수업경험과 설문조사 결과를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탄뎀학습을 통한 문화 간 소통역량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2 | 0.425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