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만주지역 대한국민회 회장 具春先 연구 = A Study on Gu Chun - Seon, President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Manchuri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8(3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구춘선은 1919년 3ㆍ1운동을 전후하여 만주지역의 항일운동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다. 그는 북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북간도 지역의 항일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었다.
1860년 함경북도 온성에서 태어난 그는 1878년부터 북간도로 이주하기 직전까지 궁궐의 수문장으로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의 군인이었던 구춘선은 1899년에 가족들과 함께 북간도 연길로 이주하였다.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인 Robert Grierson에 의해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1906년에 용정시교회를 설립하고, 1913년에는 합마당교회의 설립을 돕는다. 이처럼 구춘선은 북간도 용정 지역에서 초기 기독교 교회의 설립에 앞장섰으며, 북간도에서 기독교가 전파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기독교는 구춘선의 민족의식 형성과 더불어서 그의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1900년대 후반의 북간도지역은 이주 한인들의 수가 늘어감에 따라, 그들을 보호하고 교육시키고 민족의 역량을 다질 조직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1909년에 간민교육회가 조직되었는데 구춘선은 이 단체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또한 1911년에는 이동휘가 세운 길동기독학당의 간사로 재직하면서 교육활동에도 관여했다. 1913년에 설립된 합법적인 최초의 한인자치단체인 간민회의 발기인 중 한 사람이었으며 분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이렇게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에서 민족지도자로 입지를 다져가며 그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19년 3월 1일에 서울에서 만세시위가 시작되고, 이어서 북간도 용정에서 3ㆍ13 만세시위가 거행된다.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용정에서의 3ㆍ1운동을 계획하였으며, 한인들을 이끌고 시위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뒤이어 조직된 조선독립기성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북간도지역의 3ㆍ1 만세시위를 이끌어 간, 중심인물이자 지도자였다.
구춘선은 1919년 4월, 조선독립기성회를 계승한 대한국민회의 회장이 되었다. 대한국민회는 북로군정서와 더불어 북간도지역을 대표하는 독립운동단체였다. 구춘선은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중국정부에 청원서, 경고서 등을 보내 대중국 교섭을 전개해 나가며 교섭활동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구춘선은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국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그렇기 때문에 공동의 적인 일제에 대항하여 중국과 한인이 힘을 합쳐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고유문을 통해 북간도지역의 여러 독립운동단체들이 하나로 통일해서 보다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수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구춘선의 북간도지역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1920년 10월에 북간도의 군소단체를 병합한 총판부가 조직되었다. 그는 총판부의 총판으로 취임하였다.
청산리전투 이후 일제의 공격을 피해 러시아로 넘어간 구춘선은 1921년 6월의 자유시참변으로 다시 만주로 돌아온다. 만주로 돌아온 그는 공산주의 기반의 독립운동단체인 고려공산당에 가입한다. 그 후 1921년 12월에 독립운동단체인 총합부를 조직하고 총합부장으로 활동한다. 이처럼 북간도로 건너가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매진하였던 구춘선은 북간도 왕청현으로 돌아와서 교회를 중심으로 종교활동을 하며 남은 생애를 보낸다. 그리고 1944년에 왕청현에서 생을 마감한다.
Gu Chun-Seon i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represents the anti- Japanese movement of manchuria around the 1919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he was a figure who led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North Gando. Gu Chun-Seon was born in Onseong, Hamgyeongbukdo in 1860. He worked as chief gatekeeper at palace before moving to North Gando from 1878. He moved to Yianji, North Gando with his families in 1899 although he was a solider for the Korean Empire. After moving there, he accepted Christianity by Robert Grierson,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He established a Yongjeongsi church in 1906 and helped with establishing Hapmadang Church in 1913. As shown above, he led in establishing an early Christian church in Yongjeong, North Gando and played a big role in spreading Christianity in North Gando. Christianity also exerted a big influence on his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formation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In late 1900s, the people in North Gando felt the necessity of an organization which would protect and educate them and show national competence as more and more Koreans were immigrating. As a result, Ganmin(people in North Gando) Educational Organization was formed in 1909 and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is organization. In 1911, he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when he worked as assistant administrator of Gil-Dong Christian Village School erected by Lee Dong-Hui. In 1913, Ganminhoe, the first legal Koreans' Self-Governing Unit was established. Gu Chun-Seon was one of the promoters of Ganminhoe and also undertook the position of head of branch. As seen above, he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national leader in North Gando and expanded his influence.
Independence demonstration began in Seoul on Mar. 1, 1919, followed by 3ㆍ13 movement in Yongjeong, North Gando. He planed 3ㆍ1 movement in Yongjeong with the nationalist leaders of North Gando and led demonstration movement with immigrated Koreans. He took the position of presid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organized after then and simultaneously led the 3ㆍ1 movement in North Gando.
On April 1919, he became the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at succeeded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was the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together with Bukrogunjeongseo(armored unit for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e sent a petition, warning, etc to the Chinese Government for carrying on negotiations with China and exerted an excellent ability in such negotiating activities. He determined that perform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required cooperation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is is why he stressed that both Chinese people and Koreans should join forces to resis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Japan was the common enemy of them. He also maintained in Proprium that many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should unite together to perform more effective independence movement. In such an effort to unite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General Management Division (called as Chongpanbu) that combined many small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in Oct. 1920 was organized. He was appointed as head of the Chongpanbu.
After Battle of Qingshanli, he moved to Russia to avoid the Japanese attack and returned to Manchuria when Free City Disaster happened in June, 1921. Then he joined Goryeo Communist Party, a communism base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Dec, 1921, he organized Integrated Division(called as Chonghapbu), 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and worked as the head of the Chonghapbu. Although he committed himself to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he returned 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