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에너지 위기 시대의 에너지 안보 확립을 위한 법적 과제 = Legal Issues to Establish Energy Security in an Era of Energy Crisi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6(36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에너지 안보는 국가안보 실현을 위한 핵심적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수급 위기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단편적 논의에 그쳤다. 그간 에너지 안보를 전통적인 관점에서 에너지원을 비축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접근한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에너지 위기는 기후위기, 대외정세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언제든지 다시 도래할 수 있다. 에너지 수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기존과 동일한 접근방식으로는 더 이상 에너지 안보를 확립할 수 없다. 따라서 에너지 안보의 개념에 대한 접근방식의 변화와 이를 통해 에너지 안보를 확립하기 위한 법제도적 기반 정비에 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안보는 “적정한 가격에 충분한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는 것”으로 가용성과 가격적정성을 핵심으로 한다. 그러나 에너지 안보도 국가에너지정책의 일부이기 때문에 그 방향성과 달리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는 기후 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의 실현을 에너지 분야의 공통적인 정책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에너지 안보 확립에 있어서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미 독일, 일본 등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국가를 중심으로 에너지 안보 확립을 위해 화석연료의 비축과 함께 공급망의 다변화, 재생에너지의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에너지정책과 연계하여 단기적 관점과 중·장기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며 에너지 안보 확립에 필요한 관련 법제를 정비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개별법 중심의 에너지 안보 법제는 단절적 접근으로 인하여 불확실한 에너지자원 시장에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하며, 에너지원 상호 간의 보완가능성 등을 전반적으로 조망할 수 없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현행 에너지 안보 법제는 에너지 위기에 대한 사전예방 보다는 사후대응 위주의 수단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별법의 정비 이외에도 에너지법 전반에 대한 체계 정립, 에너지자원 안보 확립을 위한 통합적 법제 및 재생에너지 확대를 고려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법제의 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더보기Although energy security is a crucial issue for realizing national security, whenever an energy supply & demand crisis occurs, discussions on overcoming the crisis have been fragmentary.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understanding and approach of energy security from a traditional viewpoint as saving energy sources. The energy crisis can come again anytim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limate crisis and changes in external situations. At this point, when uncertainties surrounding energy supply & demand are increasing, energy security can no longer be established with the same approach. Therefore,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on the change of approach to the concept of energy security and the arrangement of the legal basis to establish energy security through this change. In general, energy security is “guaranteeing sufficient energy supply at an appropriate price,” so, availability and affordability of the energy are critical. However, since energy security is also part of the national energy policy, it should not be understood differently in its direction. Given that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have set common policy goals in the energy sector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and achieve carbon neutral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establishing energy security. Countries that are not rich in energy resources, such as Germany and Japan, are already seeking measures to establish energy security, such as stockpiling fossil fuels, diversification of supply chains, and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this proces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relevant countries are systematically approaching the short-term and mid- to long-term perspectives in connection with their energy policies and are arranging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necessary to establish energy security. Korea's energy security- related legislation, centered on individual laws, makes it difficult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uncertain energy resource market due to its disconnected approach, such that it has fundamental limitations not being able to view the overall supplementation among energy sources. In addition, the current energy security legislation is focused on the means of post-counteraction rather than prevention of energy cri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arrangement of individual laws, a system for overall energy-related laws and integrated legislation to establish energy resource security, and distributed energy activation legislation should be enacted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