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제강점기 정치·경제·사회·문화 분야 연구성과와 과제 = Japanese colonial era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저자
류시현 (광주교육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 근현대사 연구(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1-137(27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contained in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Nos. 1 to 98 on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in colonial Choson. This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about 30 years from 1994 to 2022. Based on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the four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 would like to reorganize and describe the field centering o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paper actually conducted and published.
Regarding the power and politics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policy” they adopted within colonial Choson can be set as a theme. This will be reviewed by dividing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 for colonial Koreans.
In the case of the economy, I would like to examine the subject of economic research in response to the policy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context of each era and how it has constructed its historical meaning. I would also like to cover articles related to the military and military facilities in the economic field.
In the case of society, various research topics can be included. Basically, the subject classified herein deals with the contents of various networks that occur between Japanese and colonial Koreans. The subject becomes an area that deals with compromises, conflicts, and conflicts between empires people and colonies people. In the case of culture, it was divided into the areas of thought, religion, and history, focusing on the published thesis topics.
In this paper, the papers containing Journal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ere first dealt with by subject and period of papers related to the four areas conducted in colonial Choson. In the context of the times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we looked at the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per. In addition, tasks were presented i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research topics corresponding to each area.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 안에서 이루어진 여러 활동에 관해 ≪한국근현대사연구≫ 1~ 98호에 수록된 연구성과물을 검토하였다. 1994년부터2022년까지의 약 30년 동안의 기간이 이에 해당한다. 기존의 일반적인 정치·경제·사회·문화 네 영역의 대분류를 토대로, 실제 수행되고, 게재된 연구논문의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분야를 재편해서 서술하였다.
일제와 조선총독부의 권력과 정치와 관련해서, 이들이 식민지 조선 안에서채택했던 ‘정책’을 하나의 주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정책의 입안과정과 식민지 조선인을 대상으로 한 시행과정을 나누어 검토하였다. 경제의 경우 시대별맥락 속에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응한 경제 관련 연구주제와 그것이 지닌역사적 의미를 어떻게 구성했는지를 살펴보았다. 경제의 영역에서 군대와 군사시설에 관련된 글도 함께 언급하였다. 왜냐하면 근대적 성격을 지닌 ‘총력전’은 경제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 때문이다.
사회의 경우 다양한 연구주제가 포함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이에 분류되는주제는 在日/在朝 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인 사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관계망에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해당 주제는 제국(인)과 식민지(인)의 타협, 충돌, 갈등 등을 다루는 영역이 된다. 문화의 경우 게재된 논문 주제를 중심으로 사상, 종교, 사학사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사상은 인간의 집단 행위에 영향을 미친이념과 사고라고 전제하면, 여러 담론과 논쟁, 주의 그리고 사상가 등이 이에해당한다.
본고에서는 ≪한국근현대사연구≫ 수록 논문을 우선 시간적으로 일제강점기에, 공간적으로 식민지 조선 안에서 이루어진 네 영역 관련 논문을 주제별·시기별로 다루었다. 연구가 이루어진 시대적 맥락에서 각 논문이 가진 장점과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각 영역에 해당하는 연구주제의 문제의식 속에서향후의 과제를 제시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2 | 1.675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