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OPUS
KCI등재
텔레비젼(TV)생산업체 근로자들의 영상단말기(VDT)작업이 시력과 안증상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VDT Work on Vision and Eye Symptoms among Workers in a TV Manufacturing Plant
저자
우극현 ; 최광서 ; 정영연 ; 한구웅 ; 박정한 ; 이종협 ; Woo, Kuck-Hyeun ; Choi, Gwang-Seo ; Jung, Young-Yeon ; Han, Gu-Wung ; Park, Jung-Han ; Lee, Jong-Hyeob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SCOPUS,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7-268(22쪽)
제공처
영상단말기 (VDT)작업이 시력과 안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991년 7월에서 10월 사이에 구미시의 1개 TV생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 가운데 채용 당시 안과적으로 문제가 없었고, 나안시력이 1.0 이상인 40세 미만 남자 338명을 대상으로 일일 평균 화면작업시간이 4시간 미만인 근로자(I군, 60명)와 4시간 이상인 근로자(II군, 204명)를 폭로군으로 하고 유사한 작업환경에서 근무하는 비화면작업자(74명)를 비폭로군으로 나누어 연령, 작업경력, 교대근무형태, 확대경 사용유무, 1일 평균 TV시청 시간 및 수면시간과 그리고 안자각증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안과적검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시 원거리시력 (양안의 평균시력)이 채용시에 비해 0.15 이상 저하된 비율은 II군이 20.6%로 비화면작업군의 14.9 %, I군의 15.0 % 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아니었다. 연령, 작업경력, 확대경 사용유무, 교대근무형태 등에 따라 층화하여 원거리시력 저하율을 비교해 본 결과 세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다. 근거리시력 저하율도 비화면작업군이 28.4 %, I군이 18.3 %, II군이 27.5 %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 등 4가지 독립변수를 층화하여 비교해 보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안자각증상 호소율은 안피로를 포함한 7가지 항목에서 눈물이 나는 것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비화면작업군에 비해 I군이, I군 보다는 II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화면작업자 264명 가운데 조명이 나쁜 장소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원거리시력 저하율과 안자각증상 호소율이 조명이 좋은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보다 더 높았다(P<0.05). 7가지 안자각증상을 각 증상 마다 늘 느끼는 경우는 2, 가끔 느끼면 1, 느끼지 않으면 0으로 점수화하여 개인별 총 안증상 점수를 구해 세 군간에 원거리시력 차이 유무별로 비교해 본 결과, 시력차 유무에 따른 평균 안자각증상 점수의 차는 없었으나 시력차 유무에 관계없이 II군의 평균 안자각증상 점수가 6.13 으로 I군(3.53) 또는 비화면작업군(3.30) 보다 훨씬 더 높았다(P<0.01). 안자각증상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들은 화면작업시간, 확대경 사용유무, 교대근무형태 등이었고, 채용시와 조사시 원거리시력 차이, 원거리시력과 근거리시력 차이, 누액분비기능, 안압, 굴절력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독립 변수는 하나도 없었다. 안자각증상 점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선형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화면작업시간이 길수록, 단부제나 2교대 근무자보다 3교대 근무자에서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본 조사에서는 1일 장시간 VDT작업으로 시력이 저하되는 것은 관찰할 수 없었고 안자각증상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자각증상의 예방을 위해 VDT 작업장의 조명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장시간 연속해서 작업하지 않도록 작업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VDT work on eyes and vision among workers in a TV manufacturing plant.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64 screen workers and 74 non-screen workers who were less than 40 years old male and had no history of opthalmic diseases such as corneal opacities, trauma, keratitis, etc and whose visual acuity on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by Han's test chart was 1.0 or above. The screen work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ctual time for screen work in a day : Group I, 60 workers, lesser than 4 hours a day and group II, 204 workers, more than 4 hours a day. From July to October 1992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all the study subjects for the general charateristics and subjective eye symptoms after which the opthalmologic tests such as visual acuity, spherical equivalent, lacrimal function, ocular pressure, slit lamp test, fundoscopy were conducted by one opthalmologist.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se present visual acuity was decreased more than 0.15 in comparison with that on the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by Han's test chart was 20.6% in Group II. 15.0% in Group I and 14.9% in non-screen workers. However, the differences in propor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oportion of worker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was not associated with the age, working duration, use of magnifying glass and type of shift work (independent variables) in all of the three groups. However, screen workers working under poor illumination had a higher proportion of person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than those working under adequate illumination (P<0.05) .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se near vision was decreased was 27.5% in Group II, 18.3% in Group I, and 28.4% in non-screen workers and these differences in propor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f near vision were not associated with 4 independent variables in all of the three groups. Six out of seven subjective eye symptoms except tearing were more common in Group I than in non-screen workers and more common in Group II than in Group I (P<0.01). Mean of the total scores for seven subjective symptoms of each worker(2 points for always, 1 point for sometimes, 0 point for nev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workers with decreased visual acuity and workers with no vision change. However, mean of the total scores for Group II was higher than those for the Group I and non-screen workers (P<0.01). Total eye symptom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rade of screen work, use of magnifying glass, and type of shift work. There was no independent variable which was correlated with the difference in visual acuity between the pre-employment health examination and the present state, the difference between far and near visions, lacrimal function, ocular pressure, and spherical equival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ubjective eye symptom scores revealed a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actual time for screen work and shift work(P<0.01). In this study it was not observed that the VDT work decreased visual acuity but it induces subjective eye symptoms such as eye fatigue, blurred vision, ocular discomfort, etc. Maintenance of adequate illumination in the work place and control of excessive VDT work are recommended to prevent such eye symptoms.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