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 = Vitamin D Receptor Gene 3′ End Polymorphisms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저자
황재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경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태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회수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호르몬기능연구센터) ; 박영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신찬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도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경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병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성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홍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조보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1.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23(1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중단사유
※ 발행기관의 정책으로 인하여 개인 판매가 중단된 논문입니다. 구독기관 이용자는 [
소장기관
연구배경: 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여 연관성을 살펴보고, 유전자형과 임상상 및 갑상선수용체자가항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새로 진단된 그레이브스병 환자 117명과 건강한 성인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은 각각 ApaI, BsmI, TaqI 제한효소로 잘라 제한분절길이다형성 방법으로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절단부위가 존재하는 경우를 각각 a, b, t라 하였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A, B, T라 명명하였다.
결과: 제한효소 ApaI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는 각각 AA형 17.1%, Aa형 50.4%, aa형 32.5%이었고, BsmI의 경우는 BB형이 7.1%, Bb형이 35.4%, bb형이 57.5%이었고, TaqI 유전자형은 TT형이 92.6%, Tt형이 6.2%, tt형이 1.2%이었다. 이러한 분포는 정상인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전자형에 따른 그레이브스병 환자군의 임상상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에, 모든 유전자형에서 연령, 성별, 갑상선종의 크기, 안구병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a유전자형에서 TBII(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와 WT-CHO TSAb (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가 높고, bb유전자형에서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높으며 (BB and Bb 31.9±38.9 vs. 51±42.8, p<0.05), b 유전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혈청 alkaline phosphatase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결론: 한국인에서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의 유전자 다형성은 그레이브스병과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확실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3' 말단부위이외의 다른 부분의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itamin D receptor (VDR) gene polymorphisms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s with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iters of TSH receptor antibodies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Subjects and Methods: The VDR gene polymorphisms were evaluated in 117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156 normal controls. The polymorphisms were represented according to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a(ApaI), Bb(BsmI), and Tt(TaqI), with the capital letters signifying the absence, and small letters the presence of restriction site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he ApaI polymorphism genotype was: AA(17.1%), Aa(50.4%)and aa(32.5%). The Bsm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BB(7.1%), Bb(35.4%) and bb(57.5%); and the Taq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TT(92.6%), Tt(6.2) and tt(1.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genotypic or allelic distribu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normal controls,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ge, sex, size of goiter or the presence of ophthalmopathy,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However, the titers of the TB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a than the Aa genotype, and were also higher in the group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groups with(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 Thyroid stimulating antibodies measured with a CHO cell transfected with a wild type of human TSH receptor, were also higher in patients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those with(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 The titers of the anti-thyroglobulin antibod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not contain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bb 50.9±42.8 vs. BB and Bb 319.±38.9, p<0.05).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group hav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 not(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Conclusions: The VDR gene 3' end polymorphism was not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Graves' disease in Koreans. The studies of other polymorphism sites of the VDR gene might be requir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J Kor Soc Endocrinol 18:12∼23, 2003).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KCI등재 |
2013-12-1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내분비학회지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외국어명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 미등록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Endocrin Society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6-0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 Korean Endocrin Society | KCI등재 |
2007-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 Journal of Korean Endocrin Society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3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2 | 0.508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