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약탈문화재의 압류면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Constitutional Review about the Seizure Immunity of Looted Cultural properties
저자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Institute of Law & Policy Cheju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89-417(29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소장기관
최근에 전시활성화를 위한 국외소재문화재 등의 한시적 압류면제의 법제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압류면제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을 개정하는 법안이 국회에 제안되었다.
압류면제제도에 대한 국제적 입장도 대체로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어서, 1972년 ‘유럽국가면제협약’과 2004년 ‘국가와 그 재산의 사법관할면제에 관한 국제연합협약’이 채택되었으며, 많은 국가들이 협약에 가입하거나, 상호간 조약체결을 통하여 문화재의 전시를 활성화하고 있다.
우리헌법도 문화국가원리를 채택하고 있으며, 문화적 평등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기본법 및 문화재보호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문화권, 문화향유권 및 문화재향유권은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법률상의 국민의 권리 및 주민의 권리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국외소재문화재의 국내전시를 위한 압류면제는 문화국가원리와 국민의 권리보장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불법적 약탈에 의하여 반출된 약탈문화재는 환수의 대상이 될 수는 있지만, 압류면제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압류면제제도는 자칫 점유국의 사실상 소유권을 인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악용의 여지가 있다.
국외소재문화재의 전시활성화를 위한 국내 반입 시, 문화재가 ‘인류공동의 유산’이라는 측면에서 압류면제를 허용할 수 있지만, ‘민족문화유산’으로서 국민의 공감대적 가치를 법전화한 헌법적 근거가 명확하여야 가능하다. 문화국가원리와 반제국주의적 이념을 전제로 하고, 재산권을 보장하고 있는 우리 헌법에서는 위헌성이 의심되는 약탈문화재에 대한 압류면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국회에 제안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압류면제의 요건을 ‘공익목적의 전시’로만 한정하고, 판단권한을 관계장관의 재량에 맡긴것은 약탈문화재에 악용될 여지가 높다. 그러므로 인류공동 유산으로서 가치가 높은 국외소재문화재의 국내 전시를 위한 압류면제는 대상 문화재의 반출경로를 면밀히 검토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소극적으로는 불법유출이 명백한 문화재나 소유권 분쟁 중인 문화재는 압류면제에서 제외하고, 적극적으로는 외교·통상 혹은 기증 등의 합법적 방법으로 반출된 문화재는 압류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압류면제가 가능한 문화재의 요건을 명확히 하여 압류면제가능문화재를 목록화 하고, 절차적으로도 심의위원회의 심의와 문화재전문가들의 자문 등의 절차를 거칠수 있도록 좀더 면밀한 설계가 요구된다.
Recently, a study was carried out to legislate the Immunity(exemption) of temporary seizure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versea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exhibition, and a bill to amend the “Museum and Art Gallery Support Act” was introduced to the National Assembly to institutionalize the seizure immunity(exemption) system.
The international position on the seizure immunity system has is also generally changing positively, and the 1972 European Convention on State Immunity and the 2004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Jurisdictional Immunities of State and Their Property have been concluded. And Many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Convention or engaging in multilateral treaty to promote the display of cultural properties.
The Constitution of Korea prescribes the principle of cultural state and guarantees the right of cultural equality as fundamental rights. However, the cultural right, the right for enjoyment of culture, and the right for enjoyment of cultural properties guaranteed by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and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an be interpreted as statutory rights of citizens and local residents rather than as fundamental rights in the Constitution. Therefore, the Immunity seizure for the domestic exhibi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verseas can be seen as positiv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cultural state and guarantee of the people’s rights. However, looted cultural properties taken out by illegal looting can be subject to restitution but can not be subject to immunity seizure. The immunity seizure system can make mistakes in acknowledging the ownership of the occupied state, and there is room for misapplication.
In order to revitalize domestic exhibitions of Korean cultural heritage overseas, it is possible to allow immunity of seizure in terms of ‘common heritage of mankind’, but it is possible to make clear the constitutional basis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It is necessary to take a careful approach to immunity seizure of looted cultural properties which is supposed to be unconstitutional in Korean Constitution which presupposes the principle of cultural state and anti-imperialist ideals and guarantees property rights.
The immunity seizure shall be determined by carefully examining the route of export of the cultural heritage. Passively, cultural properties that are obviously illegal to flow out, or cultural property in dispute with ownership are excluded from immunity seizure, and cultural property exported by law such as diplomacy, trade, or donation should be exempted from seizu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quirements of the immunity seizure cultural properties, and to list the immunity seizure cultural properties. A more careful design is required in order to go through procedural steps such as deliberation by the deliberation committee and consultation of cultural property exper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0-2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Law & Policy Institute -> The Institute of Law & Policy Jeju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4-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법과정책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원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10-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Law & Policy Review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8-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법과정책연구소영문명 : 미등록 -> Law & Policy Institute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6 | 0.66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7 | 0.51 | 0.735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