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독일어와 한국어에 나타난 신조어의 형태론적, 의미론적 특징 비교·분석 = Zur vergleichenden Analyse der morphologischen und semantischen Besonderheiten von Neologismen im Deutschen und Koreanischen in der COVID-19-Pandemie
저자
발행기관
한국독일언어문학회(Koreanische Gesellschaft fur Deutsche Sprache und Literatur)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101(31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독일어와 한국어에 등장한 코로나19 관련 신조어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Berlin-Brandenburg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의 프로젝트인 DWDS- Themenglossar zur COVID-19-Pandemie와 신어 2020, 신어 2021, 신어 2022에 수록된 신조어를 연구자료로 삼는다.
연구 결과, 독일어 신조어가 453개로 371개인 한국어 신조어보다 1.2배 정도 많았다. 신조어를 품사별로 분석한 결과, 한국어에서는 명사 이외에 단 한 개의 형용사만 나타났지만, 독일어에서는 명사 이외에도 형용사, 동사, 수사도 등장했다. 독일어에서는 전문어가 일반어보다 약 4배 정도 많이 등장했지만, 한국어에서는 전문어와 일반어가 개수면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조어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독일어에서는 합성어가 한국어에서는 혼성어가 가장 생산성이 높았다. 코로나19 관련 신조어를 의미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독일어에서는 19개 분야에서, 한국어에서는 11개 분야에서 신조어가 생성되었다. 상위 분야 5개를 살펴보면, 독일어의 경우 보건·의학, 정치·행정, 사회, 경제, 교육의 순이었고, 한국어의 경우 정치·행정, 보건·의학, 경제, 삶, 사회의 순이었다. 이는 전 세계를 뒤덮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에 독일과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가 거의 차이가 없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Um die während der COVID-19-Pandemie in der deutschen und koreanischen Sprache aufgetauchten Neologismen zu vergleichen und zu analysieren, werden die im DWDS-Themenglossar zur COVID-19-Pandemie, einem Projekt der Berlin- Brandenburg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sowie in den Werken Neologismen 2020, Neologismen 2021 und Neologismen 2022 aufgeführten Neologismen als Forschungsgrundlage herangezogen.
Die Forschungsergebnisse zeigen, dass es im Deutschen 453 Neologismen gab, was ungefähr 1,2-mal mehr ist als die 371 Neologismen im Koreanischen. Bei der Analyse der Neologismen nach Wortarten wurde festgestellt, dass im Koreanischen neben den Substantiven nur ein Adjektiv vorkam, während im Deutschen neben Substantiven auch Adjektive, Verben und Zahlwörter auftauchten. Zudem erschienen im Deutschen etwa viermal so viele Fachwörter wie Alltagswörter, während im Koreanischen die Anzahl der Fachwörter und Alltagswörter nahezu gleich war.
Bei der Analyse nach Wortbildungstypen zeigte sich, dass Komposita im Deutschen und Kontaminationen im Koreanischen die höchste Produktivität aufwiesen. Eine semantische Kategorisierung der COVID-19-bezogenen Neologismen ergab, dass sie im Deutschen 19 Bereiche und im Koreanischen 11 Bereiche abdeckten. Betrachtet man die fünf wichtigsten Bereiche, so waren es im Deutschen ‘Gesundheit und Medizin’, ‘Politik und Verwaltung’, ‘Gesellschaft’, ‘Wirtschaft’ und ‘Bildung’, während es im Koreanischen ‘Politik und Verwaltung’, ‘Gesundheit und Medizin’, ‘Wirtschaft’, ‘Leben’ und ‘Gesellschaft’ waren. Dies deutet darauf hin, dass die dringenden Herausforderungen, denen sich die Gesellschaften in Deutschland und Korea während der globalen COVID-19-Pandemie stellen mussten, nahezu identisch ware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