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교육에 있어 무용미학의 방법론 = The method of aesthetics for dance in higher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5
작성언어
Korean
KDC
68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5-86(12쪽)
제공처
학교 교육과정에 예술을 포함시키자는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현재 교육제도에 대한 주제는 '문화'를 발전시켜서 소수 정예집단으로부터 전 인류가 문화적 민주주의를 달성시키도록 하는 쪽으로 전향되고 있다. 영구의 Gulbenkian을 비롯한 많은 연구기관에서는 다민족, 다문화의 사회구성원을 가지고 있는 나라가 교육을 통해 각 민족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존중하면서 한 사회 공동체로 조화롭게 발전할 수 있는 방법 모색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노력의 하나로 그들은 예술교육에 기대를 걸고 그것을 교육의 실천영역 안에서 방법화하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단일 민족으로서 사회구성원 전체가 같은 전통을 가지고 하나의 문화를 형성해 왔다. 다 종족, 다문화 국가가 가진 교육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우리에게는 없다고 할 수 있겠으나 이 연구는 두가지 관점에서 우리나라 대학에서 무용미학 교육방법론 설정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첫째, 서양 지식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과 방법론으로 우리는 어느 정도 주체적인 입장에서 무용의 정당한 가치와 의미를 찾아낼 수 있으며, 학계의 필요성분으로 무용이 존재하게 만들 수 있는 가 하는 문제에 대한 무용 미학의 입장.
둘째, 지금까지도 과학을 우월시 하려는 역사적인 배경하에 있고, 더욱이 우리는 경제성장과 선진국을 향한 국가적 염원으로 '어떻게 살것인가'의 문제가 '어떤 질의 삶을 살 것인가?'보다 훨씬 더 중요한 교육환경에서 예술과 철학의 중심적 요수인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한 교육에 대한 무용미학의 교육적 대응.
이 연구에서는 '무용미학에 관한 것' 즉 인간 경험의 한 부분으로서 무용에 대한 철학적 사색에 대해 논술하려는 것이 아니다. 교육의 실천영역안의 '무용미학에 대하여'가 논제의 주제이다.
무용미학을 가르치는 교육적 목적이 무엇이며 또 그러한 교육적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방법론을 다루고 무용미학의 교육적 요청과 무용의 이해를 위한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식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eory put forth by aesthetics for dance such as-the basic judgement of aesthetics, the interrelational analysis of various elements of dance, the dancer, the choreography, and the interdisciplinary crossover between art, music and literature-is not in effect theory apart from the actual eveation of dance, but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history of dance that has so far existed.
It is simultaneously an analysis of the changing philosophical thought or the cultural inclusion or exclusion.
Aesthetics does not enforce the results of its study upon fellow scholars or creators, theory derived from aesthetic study is in no way a compelling standard by which to measure artistic works. In contrast, the results of studying past art is purported to render to systematized ans written record of previous artistic experiences in order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creations to come.
Such a task is most definately an act of scholarly effort aiming to include dance, which is without concepts or language defining its boundaries and which is characteristically a unique event, into the system of study.
According to the scholars and schools, methodology tends to differ, however, the following three points seem to outline the basic principles of dance aesthetics:
·As the basic problematic proposed by dance aesthetics is to discover the uniqueness of dance as opposed to the relationship it maintains with other art forms,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 among foreign dances is necessary in order to fully disclose the uniqueness of dance in one's own country. The history of aesthetic thought in dance or the changing perspective and ideology form a basis for this study.
·By constrasting dance to the other various art forms, the mi queness of dance must be established. it is important for dance to have its own standing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Aesthetics for dance as a liberal arts curse should differ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target audience. Methodology should differ among those seeking leisure or quality in their life styles and those aiming to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special effects of danc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