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경우궁도景祐宮圖’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景祐宮圖)
저자
김경미 (국립고궁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문화재(MUN HWA JAE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6-221(26쪽)
KCI 피인용횟수
4
제공처
소장기관
The Royal Private Shrines or the Samyo(私廟), were dedicated to members of Choseon’s royal family who could not be enshrined at the (official) Royal Ancestral Shrine, the Jongmyo(宗廟). The Samyo were construc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were systematically managed as such. Because these private Shrines were dedicated to those who couldn’t belong to the Jongmyo but were still very important, such as the ruling king’s biological father or mother.@ The details of all royal constructions were included in the State Event Manuals, and with them, the two-dimensional layouts of the Samyo also. From the remaining“ Hyunsa-gung Private Tomb Construction Layout Record(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of 1824, which is the construction record of Gyeongwoo-gung Shrine(景祐宮?) dedicated to Subin, the mother of King Sunjo(純祖), it became possible to investigate the so far unknown“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n terms of the year produced, materials used and other situational context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is actually the “Hyunsa-gung Private Tomb Layout”produced by the Royal Construction Bureau. The bureau painted this to build Hyunsa-gung Private Shrine in a separately prepared site outside the court in 1824, according to the royal verdict to close down and move the temporary shrine inside the courtyard dedicated to Subin who had passed away in 1822. As the Construction Bureau must have also produced the Gyeongwoo-gung Shrine Layout, the painter(s) of this layout should exist among the official artists listed in the State Event Manual, but sadly, as their paintings have not survived to this day, we cannot compare their painting styles. The biggest stylistic character of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its perfect diagonal composition method and detailed and neat portrayalof the many palace buildings, just as seen in Donggwoldo(東闕圖, 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A well-perceiving architectural painting employs a specific point of view chosen to fit the purpose of the painting, or it can opt to the multi-viewpoin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paintings in early ages utilized the diagonal composition method, the bird-eye viewpoint, or the multi-viewpoint. By the 18th century, detailed but also artistic architectural paintings utilizing the diagonal method are observed.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peak of such techniques is exhibited in Donggwoldo(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From the perfect diagonal composition method employed and the details of the palace buildings numbering almost two hundreds, we can determine that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also belongs to the same category of the highly technical architectural paintings as Donggwoldo(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We can also confirm this hypothesis by comparing the painting techniques employed in these two paintings in detailthe way trees and houses are depicted, and the way ground texture is expressed, etc.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however, that the area surrounding the central shrine building(正堂),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shrine, is drawn using not the diagonal method but the bird-eye viewpoint with the buildings lying flat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just as seen in the“ Buildings Below the Central Shrine(正堂以下諸處)”in the State Event Manual’s Painting Method section. The same viewpoint method is discovered in some other concurrent paintings of common residential buildings, so it is not certain that this particular viewpoint had been a distinctive feature for shrine paintings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gonalmethod pointing to the left direction is chosen, the top-left and bottom-right sections of the painting become inevitably empty. This has been the case for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but in contrast, Donggwoldo shows perfect screen composition with these empty margins filled up with different types of trees and other objects.@ Such difference is consistent with the different situational contexts of these two paintings: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a simple single-sheet painting, while Donggwoldo is a perfected work of painting book given an official title. Therefore, if Donggwoldo was produced to fulfill the role of depiction and documentation as well as the aesthetic purpose, contrastingly,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only served the purpose of copying the circumstances of the architecture and projecting them onto the painting.
더보기조선시대 종묘(宗廟)에 모실 수 없는 왕의 사친, 등극하지 못한 세자와 같은 왕족의 신위를 모신 공간, 사묘(私廟)는 왕명에 의해 건립되고 관리되었다. 또한 사묘의 영건은 각 의궤(儀軌)에 담겼고 이와 함께 왕실사묘의 평면배치도 등이 남겨졌다. 정조의 후궁으로 순조(純祖)를 생산한 수빈박씨(綬嬪朴氏)의 신위를 모신 경우궁의 영건기록인 1824년『현사궁별묘영건도감 의궤(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가 현존하기에 그간 소개된 바도 없고 연대조차도 알 수 없었던 〈경우궁도(景祐宮圖)〉의 제작 연대, 사용재료 및 장황(粧潢)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즉 〈경우궁도〉는 1822년에 타계한 수빈박씨의 신위를 모시기 위해 궁내에 설치했던 혼전(魂殿)을 폐하고 궁밖에 별도로 마련한 터에 왕명에 의해 1824년 현사궁별묘를 영건하면서 영건도감(營建都監)에서 제작한 〈현사궁별묘전도〉인 것으로 확인된다. 영건도감에서 〈경우궁도〉의 제작이 이루어졌을 것이기에 의궤에 제시된 화원 (畵員)들이 주목되지만 이들의 현존작이 없어 화풍을 비교할 수 없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경우궁도〉는 〈동궐도(東闕圖)〉에서 볼 수 있는 완벽한 평행사선구도로 일목요연하게 많은 전각 등을 묘사하고 있는 점이 가장 큰 양식적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주지하듯 건축물을 다룬 그림들은 해당 건축그림 제작 의도에 맞게 시점을 택해 그리거나 아니면 다시점을 이용해 그리게 된다. 우리 회화에서 건축물을 다룬 그림은 일찍부터 평행사선구도, 정면부감시 또는 다시점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18세기에 이르면 평행사선구도로 정확하게 그리면서도 회화성도 높은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19세기 전반기에 이와 같은 현상이 최고로 발전한 듯 〈동궐도〉가 등장한다. 〈경우궁도〉또한 완성된 평행사선구도로 200칸 가까운 많은 전각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치밀하게 표현하고 있어 〈동궐도〉와 같은 계열에 속하는 건축그림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또한 수지법, 옥우법, 지면의 표면질감 표현 등 구체적 화법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다. 다만 사당공간 중 가장 중요한 정당권역만은 의궤도설 ‘정당이하제처(正堂以下諸處)’라는 평면배치도와 그대로 일치하여 평행사선구도를 버리고 정면부감시 및 사방전도식묘법으로 표현된 점은 〈경우궁도〉만이 갖는 특징으로 지적될 수 있다. 동시대 영건과 관계된 그림은 아닌 개인의 거주지를 표현한 그림에 이와 같이 시점을 각각 달리하여 표현한 예가 있기도 하여 사당공간을 그린 그림만이 가지는 특성인지는 아직 정확히 알 수 없다. 한편 왼편 하단으로 향하는 평행사선구도를 택해 그릴 경우 화면 왼편 상단과 오른편 하단은 비게 된다. 경우궁도가 이에 부합되는 화면을 보여주는데 반해 동궐도는 다양한 나무 등을 채워 빈 여백 없는 완벽한 화면 구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현상은 두 작품의 장황의 현황과도 일치하는데 지본 낱장으로 완성된 경우궁도는 화첩으로 표제까지 달아 완성된 동궐도와는 완성도의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마치 동궐도가 그 묘사의 사실성, 기록성을 넘어 감상의 목적까지도 고려하여 작품제작 및 장황까지 마친 것이었다면 경우궁도는 영건의 상황을 있는 그대로 화면에 옮겨 그리는 기록이 가장 중요한 목적 으로 제작되었음을 알게 해주는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2 | 0.57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