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발굴조사를 통해 본 나주객사 유적의 구조변화 = The Structural Transition of Naju Gaeksa from the Excavation
저자
이수진 (동신대학교 문화박물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7-52(26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Gaeksa(객사) was built to spread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system to regional area according to Confusianism in Joseon Dynasty.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regional Gaeksa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circumstances the Joseon Dynasty.
This thesis has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regional Gaeksa changed during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structural change of Naju Gaeksa which was excavated.
As the Gaeksa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Gaeksa changed with the transition of society. In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when the major role of Gaeksa was lodging and reception, building a place for leisure as well as for lodging was highlighted. But, after the mid Joseon Dynasty, the ceremonial function of Gaeksa was the most important due to the growth of Sarim(사림) and Yehak(예학). This is verified at the Naju Gaeksa site which was divided ceremonial space and other space. At the time of King Gojong, he tried to recover regional facilities including Gaeksa with purpose of intensifying King power. But most of regional Gaeksa lost its function and were destroyed by the Japanes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Naju Gaeksa also had changed after Japanese Invasion to Korea in 1597. At this time, main hall, left and right wing quarters changed to typical apparence. Also, division of ceremonial function and practical function became clear. After then, In the 19th century, Naju Gaeksa was reconstructed. At this time, it had 1st inner gate and 2nd inner gate. After the Korea and Japan annexation in 1910, Naju Gaeksa lost most parts except for the main hall(Geumseonggwan) which was used as a political office, other facilities were used as a residence of general public.
본고는 나주객사의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나주객사의 중·개수를 통한 구조 변화를 확인하고, 조선시대 지방객사의 구조가 사회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한 목적에서작성되었다.
조선시대 객사는, 중앙집권적 통치체제를 위한 지방 읍치 내 중심건축물로, 모든 의식이 치러졌던주공간(정청, 동·서익헌)과 객사의 지원을 위해 조성된 부속공간(부속건물, 유흥공간 등), 그리고주공간에 들어서기까지의 진입공간(외·중·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공간 구조는 사회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은 나주객사 유적의 발굴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사신의 유숙과 접대가 주 기능이었던 조선 전기 객사는 유숙시설과 그 주변의 완상공간 조성이 우선시 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 당시 나주객사지 내 건물유구 또한 다소 산발적인 구조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조선 중기 이후, 객사의 주요기능은 정청에서의 행례의식으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 나주객사 내 건물 배치는 정청과 양익헌을 갖춘 객사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객사 일곽또한 중문을 중심으로 행례공간과 그 외 공간으로 명확하게 구획되어졌다. 그리고 19세기 이후 사회적 혼란 속에서 약화된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한 노력에 발맞춰 나주객사는 주 건물을 제외한 모든 공간에서 대대적인 구조변화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한일합병 이후 일제의 의도적인 해체로 인해 나주객사는 군청으로 사용된 정청(금성관)을 제외한 그 밖의 영역이 모두 일반인들의 거주지로 변화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5-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MUNHWA -> KOMUNHWA (Korea Antiquity)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7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4 | 0.69 | 1.562 | 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