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처용과 처용설화가 시문학에 수용된 양상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3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본고는 처용과 처용설화가 문인들의 시문학에 수용된 양상을 고찰한 글이다. ≪삼국유사≫에 소개된 처용과 설화는 후대로 전승되어 고려후기 이제현 ‘소악부’에 <처용>으로 의역되어 재창작되었고, 이숭인의 시에는 우국에 대한 심경이 태평성대를 구가하며 불렸던 신라 <처용가>에 대비하여 표현된 것으로 보았다. 아울러 예전의 악보인 ‘구보(舊譜)’대로 전해온 노래를 들었다는 시어로 인하여 새 노래 ‘신보(新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였다. 이후 이색의 시들은 국가행사・군신연・나례의식 등의 행사에 묘사되어 나타났다. 고려시대 문인들의 작품에 처용이 등장하기까지 사료를 통하여 그 추이를 부연해 보았다.
조선시대에는 처용과 설화가 영사악부 문인들에 의해 수용되었다. 영사악부는 우리나라의 역사를 소재로 ‘제목-사화-작품(인식)’라는 구성을 통하여 포폄(褒貶)을 가하는 특징이 있는데 그들의 작품에도 인식, 곧 사평이 투영되어 있었다. 그들에게 처용과 설화가 수용된 양상은 세 가지로 나타나는데, 먼저 처용의 부정과 신라 위정자 비판, 다음은 처용은 긍정하되 신라 위정자의 비판, 그리고 처용의 예찬 등이다. 첫 번째는 처용무를 궁중에 만연하게 하여 어지럽게 만든 처용이 부정되고, 이에 빠져 탐락을 일삼았던 위정자들 또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처용에게 벼슬을 내릴만한 자격이 있었는지 의문을 제시하고 또 벼슬을 내린 위정자의 인사등용에 대한 부정의식을 드러낸 작가도 있었고 처용만을 부정하고 정치현실에 대해서는 표현하지 않은 작품도 있었다. 두 번째는 임금의 성덕을 축원하고 또 경계를 일러주었던 처용은 긍정되되 신라의 정치상황과 현실은 풍자 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또한 신라의 정치상황이 자신들의 현실상황에 비유되거나 한탄이 표현되기도 하였다. 세 번째는 처용이 태평성대에 구가(謳歌)되었기에 전승되어야한다는 인물로 예찬되거나 우리 음악의 전승에 의미를 두기도 하였다.
처용과 설화를 수용한 작품들을 발췌하여 본고에서 새롭게 영사악부로 인정하여 살펴보았다.
This is a study on how Cheoyong and Cheoyong Story have been accepted by writers for their poetry. Cheoyong and his story which was introduce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ere handed down to posterity, translated liberally and rewritten as <Cheoyong> in the song of ‘So-ak-bu’ by Yi Je-hyun in the latter part of Goryeo period, and regarded in the poem of Lee Sung-in as an expression of patriotism compared to <Cheoyong-ga> of Silla dynasty which was sung to enjoy the reign of peace. And they even assum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Shin-bo’, a new music, considering there was the poetic word that people listened to the song which was passed down as per the old music of ‘Gu-bo’. Afterwards, Lee Saek’s poems appeared with description in the ceremonies such as event of state, banquet for the ruler and the ruled, Na-re rite (a ritual held to drive out the ghost since the Silla era), and so forth. Through historic records, this study attempted to add its development until the appearance of Cheoyong in the works of the writers in Goryeo era.
Cheoyong and his story was accepted by the writers of Yeong-sa-akbu(a music administrative office) in the dynasty of Joseon. As Yeong-saak-bu has characteristics to criticize through the formation of ‘title historical story-work(awareness)’ based on our history, awareness, i.e. history evaluation, was reflected in their works as well. The types that they accepted Cheoyong and his story are featured in three kinds, and the first one goes to both the denial of Cheoyong and criticism on the politicians of the Silla dynasty, and next one to acceptance of Cheoyong but criticism on the politicians of the Silla dynasty, and admiration for Cheoyong, and so on. The first was that Cheoyong who made Cheoyongmu(a kind of dance) prevalent in the court and messed it up was denied, and the politicians who were trapped in the dance and greedy habitually for seeking pleasure were also the target to be criticized. And more, there were writers who questioned whether Cheoyong was qualified to be entitled with government post, and they showed negative opinions on the personnel appointment made by the politicians who bestowed the post on him, and there were works as well which denied only Cheoyong but did not express anything on the reality of politics. The second was that the flourishing virtues of king were prayed, and Cheoyong who gave the king pieces of advice for wariness was accepted, but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politics of Silla came to the target of satire and criticism.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Silla was compared to their situation of reality, or expressed as their regret. The third was that they admired Cheoyong as a person who had to be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due to the reason that he was sung in the reign of peace, or they emphasized it as a transmission of our music.
We collected and studied the works that had accepted Cheoyong and his story after newly recognizing them as ‘Yeong-sa-ak-bu’ in this stud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4 | 0.24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4 | 0.507 | 0.0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