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갈홍의 노자신선론 연구 = Study on Ge-Hong`s Theory of Taoist Hermit Lao-zi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05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3-319(27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갈홍은 도교사에서 처음으로 도교신선학을 이론적으로 정립한 인물이다. 갈홍은 『포박자내편』에서 도교신선학의 이론, 즉 ‘신선존재론’, ‘신선가학론’, ‘신선명정론’을 정립한다. 사실, 갈홍의 모든 도교사상은 자신의 신선학을 기초로 전개된다. 갈홍의 노자관 또한 예외가 아니다. 갈홍은 자신이 정립한 신선학을 기초로 새로운 도교노자관을 제출한다. 갈홍은 노자를 최고의 신선이라고 생각하며, 노자가 인간에서 신선이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갈홍의 노자신선론에 따르면, 노자는 보통인간으로 태어나, 후에 배움을 통해 신선이 된 인물이다. 노자는 이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노자는 원군을 스승으로 모시고, 도와 덕을 배우고 수행하여 신선이 되었다. 노자는 장생의 도를 깨달았지만, 바로 ‘천선’이 되지 않았다. 자식을 낳아 조상제사가 끊어지지 않게 하였고, 오랫동안 주나라의 관리로 있으면서 국정을 돕기도 하였다. 즉 노자는 ‘선도’뿐만 아니라, ‘인도’ 또한 실천하였다. 그러나 주나라에서 더 이상 ‘선도’의 실천이 불가능함을 알고, 그 곳을 떠나 ‘천선’이 되었다. 이러한 갈홍의 노자신선론은 『사기』와 『열선전』을 바탕으로 노자의 전기를 재구성한 것이다. 갈홍은 『사기』와 『열선전』의 문헌적 권위를 빌어 노자신선론을 정립함으로써, 자신의 ‘신선존재론’과 ‘신선가학론’을 증명한다. 그런데, 그 문헌적 권위는 다른 하나의 문제를 야기한다. 『사기』와 『열선전』에 따르면 역사적으로 최고권위를 갖는 성인인 공자가 노자를 만났는데, 왜 공자는 장생의 도를 배워서 신선이 되지 않았는가의 문제이다. 여기서 갈홍은 ‘신선가학론’과 모순된 ‘신선명정론’을 제출한다. 이제 노자는 보통인간이 아니라, 신선의 운명을 타고난 특별한 인간이다. 그리고, 노자는 자신의 운명에 따라 열심히 배우고 수행해서 신선이 되었을 뿐이다. 이처럼, 갈홍의 ‘신선가학론’은 ‘신선명정론’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에게만 유의미하다. 그러나 갈홍의 신선학이 이론적 모순을 갖고 있지만, 인간의 주체적 배움과 수행을 강조하는 점은 도교가 대중종교로 나아갈 수 있는 이론적 초석을 마련해준다.
더보기Ge-Hong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established Science of Taoist Hermit(Shenxian, 神仙) as a theory in the history of Taoism; in Baopuzi:inner chapters, he established Science of Taoist Hermit’s Theory, namely, “Theory of Taoist Hermit Existence,” “Theory of Taoist Hermit Attainment,” and “Theory of Taoist Hermit Destiny.” Actually, Ge-Hong’s Taoism is based on his Science of Taoist Hermit. Ge-Hong’s viewpoint of Lao-zi is not an exception. Ge-Hong presented the new Taoism’s viewpoint of Lao-zi founded on his Science of Taoist Hermit. He thought Lao-zi as the greatest Taoist Hermit and explained the process of Lao-zi’s becoming hermit from a human being. According to Ge-Hong’s Theory of Taoist Hermit Lao-zi, Lao-zi is the person who was born as a normal person and became a hermit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Lao-zi was born to the Li family. Lao-zi learned Dao and De from his teacher, Yuanjun, and praticed it; finally, he became a Taoist hermit. Although Lao-zi realized the Theory of Eternal Life, he did not become a Sky’s Taoist hermit right away. He had offspring in order not to cease the ancestral rites and participated, moreover, in the national affairs as a member of Zhou’s government; hence, Lao-zi put not only Taoist hermit duty, but also human duty into practice. However, after Lao-zi realized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practice Taoist hermit duty in Zhou, he left Zhou and became a Sky’s Taoist hermit. Ge-Hong’s Theory of Taoist Hermit Lao-zi is the reconstruction of Lao-zi’s biography on the basis of Shiji and Liexianzhuan. Ge-Hong proved his “Theory of Taoist Hermit Existence” and “Theory of Taoist Hermit Attainment” by establishing Theory of Taoist Hermit Lao-zi by borrowing the literature authority of Shiji and Liexianzhuan. But, this literature authority brought about one problem. The problem is that in accordance with Shiji and Liexianzhuan, in spite of Saint Kong-zi, who had the highest authority in history, meeting with Lao-zi, why Kong-zi did not become a Taoist hermit by learning the Theory of Eternal Life from Lao-zi. At this point, Ge-Hong introduced “Theory of Taoist Hermit Destiny” contradictory to “Theory of Taoist Hermit Attainment.” Now Lao-zi is a special person born with the Taoist hermit destiny, not an ordinary one. Following his destiny, Lao-zi learned and performed hard, and became a Taoist hermit. Like this, Ge-Hong’s Theory of Taoist Hermit Attainment is beneficial to those who are qualified with Theory of Taoist Hermit Destiny. Even though Ge-Hong’s Science of Taoist Hermit has a theoretical contradiction, it provides with theoretical foundation to lead Taoism to the popular religion because of its emphasis on human being’s independent study and performanc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11-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 KCI후보 |
2009-11-0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1 | 0.784 | 0.3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