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원(原)자료 재구성에 관한 연구 - 대한제국 말기 ‘전문 예술인 기생’에 대한 일제 통감부의 정책과 그 변화과정 - = A Study on Reorganization of Source Material for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 Focusing on “Documents Related to Gisaeng” for September to October 1908 and May 1910
저자
水谷淸佳 (日本東京成德大學)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52(44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모든 ‘기생(妓生) 관련 문서들’ 과 사전 자료조사 과정에서 새롭게 발굴한 원본(原本)에는 존재하지 않는 「기생및 창기 단속령 시행 심득(妓生及娼妓團束令施行心得) 안(案)」 3장 이상 ‘총 58장의기생 관련 문서들’을 각 문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된 시간 순서대로 재구성하여, 대한제국 말기 ‘전문 가무주 공연자인 기생(妓生)’에 대한 일제 통감부의 정책내용과 그 변화과정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첫째, 1908년 9월 25일 「기생단속령」에 의해 ‘근대 기생제도’가 시작되면서일제 통감부가 가장 먼저 착수한 작업은 대한제국의 관(官)에 소속된 기생인 ‘관기’들의 인적현황을 조사·파악하여 이들을 모두 경시청으로 이관(移管)시키는 것이었다.
둘째, 일제 통감부는 1908년 9월 15일 「기생단속령」을 제정·확정하고, 1908년 9월 24일 내부대신 송병준(宋秉畯)은 이를 공식적으로 승인(承認)하고, 다음날인 1908년 9월 25일 마침내 한반도의 ‘전통 기생제도의 폐지’이자 ‘근대 기생제도의 시작’인 일제 통감부 경시청령 제5호 「기생단속령」이 발령된 것이다.
그리고 이 「기생단속령」의 전문(全文)은 1908년 9월 28일 『대한제국 관보』 제4188호 「廳令」에 의해 대중에게 공식적으로 공표(公表)되었다.
셋째, 일제 통감부는 1908년 9월 「기생단속령(제5조)」, 「기생조합 규약 표준(제12조)」, 「기생에 대한 유고조항(제10항)」과 같은 일련의 기생 관련 법령과 규정들을 제정함으로써 기존 ‘전통 기생제도’ 하의 기생(관기 포함)들을 근대적인 방식으로 통제·관리를 위한 법적·정책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넷째, 1908년 10월 일제 통감부는 각 지역의 경찰서 및 경찰분서의 일본인경찰들이 숙지(熟知)·실행(實行)해야 할 지침(指針)인 「기생 및 창기 단속령 시행 심득(제8조)」과 세부 지침인 「기생 및 창기 단속령 시행 세부심득(제2조 제12항)」을제정한 후 기생과 창기의 영업(稼業), 폐업(廢業), 주소이전(住替) 등의 신고서(届書) 양식(書式)을 마련·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제 통감부는 1909년 4월 1일부터 본격적인 공연활동을 시작한 한성기생조합소(漢城妓生組合所) 기생들의 지방공연 및 해외 순회공연 등 기생들의 공연을 위한 ‘여행(旅行)’에 있어서 구체적인 계약서 및 계약내용, 기생을 포함한 모든 공연 관계자들의 이름과 주소 등이 포함된 청원서 등을 제출시키고, 이를 토대로 인가(認可) 여부를 결정하는 근대식 관리·통제 시스템을 마련해 놓았다. 그리고 대한제국 말기 일제 통감부에 의해 정비된 이러한 기생 관리·통제 시스템은 일제강점기로 들어서면서부터 보다 더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간다.
This study targeted a total of 58 pages of Gisaeng-related documents, including all Gisaeng -related documents for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nd 3 pages of [Agenda on Gisaeng and Prostitute Regulation Enforcement Instructions] that did not exist in the original copies and were newly discovered during the preliminary research. Then, this study examined each document and reorganized them based on the time sequence of documentation for a precise and detailed clarification on the details and process of changes in the policies that the Resident-General enforced on the Gisaeng, who was a professional performer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First, [Gisaeng Regulation Law] began the modern Gisaeng system from September 25, 1908. The Resident-General first set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official Gisaengand transfer them to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Second, the Resident-General enacted and confirmed the [Gisaeng Regulation Law] on September 15, 1908. As the internal official, Byungjun Son, approved the law on September 24, 1908, the [Gisaeng Regulation Law] was enforced on September 25, 1908, a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Gisaeng system.
Third, the Resident-General established a legal and political system for modernized control and management of Gisaengs (including official Gisaeng) who were working under the existing traditional Gisaeng system by enacting the series of Gisae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Gisaeng Regulation Law], [Standard Regulation of Gisaeng Association], [Proclamation on Gisaeng] in September 1908.
Fourth, the Resident-General enacted the [Notice on Gisaeng and Prostitute Regulation Law Enforcement] and its detailed guidelines, [Detailed Notice on Gisaeng and Prostitute Regulation Law Enforcement] in October 1908, as the guidelines to be aware and conducted by the Japanese police officers of each local police station and each police station branch. The Resident-General also arranged and confirmed the formats for reporting operation, closure, address change, etc., of Gisaeng and prostitutes.
Lastly, Gisaengs who were travelling for local tour, overseas tour, or other performances were required by the Resident-general to submit detailed contracts, contract details, and petition with names and addresses of Gisaeng and all performers. These documents were used to establish a modern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for determining the authorization. This Gisaeng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organized by the Resident-General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by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