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사회의 소수 민족(ethnic minority), ‘코시안’(Kosian)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 The implication of the ‘Kosian’ case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저자
오성배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7-157(21쪽)
제공처
소장기관
한국 사회에 이주노동자, 새터민, 국제결혼 이주 여성, 코시안 등과 같은 다인종 다문화의 새로운
사회구성원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격적으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것이다. 관련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사회구성원들은 한국 사회의 적응 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머지않은 미래에 한국 사회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코시
안 아동의 교육기회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시안의 어머니는 대부분 한국 사회의 언어와 문
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 한 상태에서 출산과 양육, 자녀 교육의 많은 부분을 전담하고 있는 실정
이었다. 코시안 아동의 교육기회를 접근-경험-성취의 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취학 이전 단계
부터 가정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중도탈락률도 매우 높은 상황이었
다. 취학한 이후의 경험의 과정에서도 별도로 이들을 위한 보완 프로그램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교사의 자발적 배려에 의존하는 상태였고, 피부색으로 인하여 따돌림을 당하는 경우
도 적지 않았다. 학업성취도도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들에 대한 사회의 시선도 부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코시안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격차는 성장 과정에 누적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 다인종 다문화 사회를 먼저 경험한 미국, 영국, 일본의
경우 새로운 소수 민족을 위한 교육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시민교육 정책을 통한 평화적 공
존을 추구하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다문화 교육이 시행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다문화 교육은
교육기회의 보상적 배분을 통한 격차 해소와 더불어 다문화 이해 교육의 시행을 통한 평화적 공존
의식의 형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The number of multi-ethnic, multi-cultural members, such as immigrant labors,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and Kosian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n society. Now it might be said that
Korea has become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The results of earlier studies on this
topic suggest that multi-ethnic, multi-cultural members are having great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Korean culture and social system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Kosian children seem to be in a
severe situation, although they will m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opulation in Korea in near
future. Mothers of Kosians do not adjust themselves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but they take full
charge of the birth, bearing, and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Kosian children using variables such
as access, experiences and attainment in schooling, there seem to be little training at home in most
families before the children attend school. And dropout rates of Kosians are higher than those of
children whose parents are both native Koreans.
Even when they attend school, there are actually no supplementary programs for them, and their
educational opportunities seem to depend entirely on teachers' voluntary concerns and supports. Also,
many of them are experiencing exclusion from peer groups due to their color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Kosians is very low, and people have relatively negative images of them. These gaps
can become wider and result in serious social problems as the Kosian becomes older.
Some multi-ethnic and cultural countries, such as America, England, and Japan, are implementing
new educational policies for ethnic minorities. Through various kinds of civil educational policies,
these countries are also working to construct a society in which people of various groups can coexist
peacefully.
Now it is the very time that Korea should implement some kinds of multi-ethnic and
mu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