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조선후기 경상도지역 佛石製 佛像의 등장과 유행 = Appearance and Trend of Stone Buddha(Zeolite Buddha Statues) in the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저자
이희정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70(36쪽)
KCI 피인용횟수
8
제공처
Unlike other regions of the country, Gyeongsang Province created overwhelming numbers of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is is critica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diversity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draft for researching the stone Buddha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by understanding the overal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stone Buddha were made with zeolites that were produced from the surrounding areas of Guryongpo. In the Buddhist sculpting, the zeolite is called as Buddha Stone because its usage of creating a Buddha statue. It is assumed that the term was already widely used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stone Buddha in the late Joseon period shows similarities with those of early Joseon period, interestingly the patterns as such as iconography, mudra,and storage also has strong relevance. In terms of appearance of zeolite based stone Buddha, we shall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upper time limit as far as Goryeo period considering the Goryeo period's stone bodhisattva statue excavated out of Goseung County, Gangwon Province; however. The extensive trend of stone Buddha statue for Gyeongsang Province began in 1648 with the stone statue in Yaksajeon(Hall of healing, Bhaisajyaguru), Tongdo Temple and full scale production started in the 1670's and 1680's. Gyeongsang Province's wide trend of stone Buddha is assumed to be related with a worsening of lumber shortage. During the time, Gyeongsang Province had the largest share of forbidden deforestation areas. Therefore, it was inevitable situation to look for other resources such as Buddha Stone which was produced out of Gyeongsang Province that could replace the lumber usage.
There were many Buddhist sculptors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only 10 or so stone sculptors are known today. It started with Nahheum who created Yangsan Wonhyoahm's stone Buddha statue and was followed by Dowoo, Nokwon and Seungil who were active in the 1650's and 1660's. In the 1670's and 1680's, Gyeongok, Seungho, Saeknan, Choongok, Mhail and Gyeongtan were active. Based on their activities, these monk sculptor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First group is those who continuously created the stone statue using the zeolite after having a training period to create either the wooden or stone Buddha statue in the regions of Gyeongsang Province and representative sculptors are Nahheum, Gyeongok and Seungho. Second group is those who created a stone statue for awhile and returned back to create a wooden statue and representative sculptors are Nokwon, Dowoo,Saeknan, Choongok, Mhail, and Gyeongtan. Third is Seungil, he peculiarly created both of wooden and stone statues. Seungil was a member of Hyeonjin School which was continuously active in the Gyeongsang Province and played a leading role within the region from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zeolite stone Buddha statues has a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 to other stone sculptures, for example, granite. The cause is that it has a distinctive sculpting method of injecting sufficient moisture into the stone. In other word,the stone is softened and it could be sculpted as a lump to emphasis on the mass in order to expose crudeness and weight. Also, in terms of expressing on the dress wrinkles and face, it has a characteristic of exposing a flat structure or details like a thin layer.
조선후기 경상도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리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석조불상이조성되었는데 이는 경상도지역 불교조각의 지역성과 다양성을 이해하는 중요한자료이다. 본 논문은 석조불상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과 특징을 파악해 봄으로써조선후기 석조불상 연구에 대한 시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선후기 석조불상은 ‘불석(zeolite, 沸石)’으로 제작되었고, 이 돌은 경상북도구룡포를 중심한 지역에서만 산출된다. 불교조각에서는 불상을 만드는 돌이라는의미에서 ‘불석(佛石)’이라 부르고, 이 용어는 19세기 초에는 이미 통용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후기 석조불상은 이미 조선전기부터 조성되었으며, 흥미롭게도 전기의 석조불상은 도상(iconography), 수인(mudra), 보관 등 양식적 특징이 이 시기와 관련이 매우 깊다. 그러나 불석재(佛石材) 석조불상의 등장은 고려시대 작품인 강원도 고성군 출토 석조보살상을 통해 상한시기가 고려시대까지 올라갈 가능성도배제할 수 없다. 경상도지역 불석 불상의 유행은 1648년 통도사 약사전 석조불상을 시작으로 1670․80년대에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다. 1640년대 불석제 불상의재등장과 유행은 목재부족현상이 심화된 것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당시 이지역은 목재의 채벌을 금한 금산(禁山)이 가장 많았던 곳이었다. 따라서 목재를대신할 재료로써 경상도지역에서 산출되는 불석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후기는 많은 조각승들이 활동하고 있었지만 석조불상을 조성한 조각승은현재 10여명 정도가 알려져 있다. 1648년 나흠이 조성한 양산 원효암 석조불상을시작으로 1650․60년대에 활동한 도우, 녹원, 승일, 승일, 1670․80년대에는 경옥, 승호, 색난과 충옥, 마일, 경탄이 활동하였다. 이 조각승들은 활동상 3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했다. 첫째는 나흠, 경옥, 승호와 같이 목조불상과 혹은 석조불상의 수련기를 거쳐 경상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불석으로 석조불상을 만드는그룹이다. 다른 하나는 잠시 동안 경상도지역에서 석조불상을 조성하고 다시 목조조각승으로 돌아가는 녹원, 도우, 색난, 충옥, 마일, 경탄의 그룹이다. 그리고특이하게 목조와 석조를 모두 조각한 승일이다. 특히 나흠, 승일, 경호, 승호는 경상도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한 현진파와 관련된 인물들이며, 이 유파가 임란이후 17세기부터 경상도 지역 불교조각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불석제(佛石製) 불상은 돌에 습기를 주입하여 조각사는 독특한 조각기법 때문에 이 석재만이 가지는 조형적 특징이 있다. 즉 돌이 무르기 때문에 덩어리로 조각하여 전체적으로 돌의 질량감이 강조된 투박함과 무게감이 드러나며, 옷주름,얼굴 등을 표현함에 있어 평면적이거나 얇게 빚은 듯한 회화적 섬세함으로 드러남을 들 수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5 | 0.95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8 | 1.654 | 0.3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