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보호국화와 호머 헐버트의 국제 담론 전략- 대미 언론 대응을 중심으로 - = Japan’s Protectorate of Korea and Homer B. Hulbert’s International Discourse Strategy - Focusing on the Response toward the U.S. Media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9-78(4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Homer B. Hulbert’s role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s modern nationalist media movement through a renewed perspective on his media strategy activities toward the U.S. during Korea’s protectorate period. Strategic writing for local communities in the U.S. propaganda activities, public opinion strategies, and public opinion trends in the U.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factors will be considered. Concerning Hulbert’s strategic writing,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he 1) created the representations of the local discourse (“Far East Question”) and Korea, 2) used them strategically, and 3) tried to draw the world powers’ attention by raising the problem of Korea to the level of international discourse in his interaction with foreign English-language media.
Before discussing Hulbert's strategic writing,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observe the international media environment of Korea’s protectorate period, which formed the background of his strategic writing. This is not only because Hulbert produced reports in an organic and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foreign media, but also because he intentionally targeted foreign media while producing them. This paper also will examine the media of the U.K., which was the height of the world’s English media network in the 19th century to further understand international discourse
본 연구는 한국 보호국 시기 헐버트(Homer B. Hulbert)의 대미 언론 담론 전략을 새롭게 규명하였다. 헐버트는 대한제국 영자언론 편집인으로서 국제적 논의에 참여하고 한국의 주권 보전을 위한 국제 담론을 전파했다.
1905년 한국 보호국화 이후 헐버트는 고종의 특사로서 헤이그, 유럽, 미국에서 강연, 인터뷰, 기사 투고 등을 통한 한국문제 공론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보호국 시기는 헐버트의 언론 활동 무대를 급격히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상 지역에 따른 다양한 담론 전략을 요구했다. 특히 이 시기 미국 여론은 한국에게 매우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러일전쟁 전후 ‘극동문제’를 둘러싼 열강의 대립 구도가 러시아ㆍ일본에서 미국ㆍ일본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헐버트는 미국 여론과 지역 사회를 겨냥한 전략적 글쓰기를 통해 주권 회복을 모색했다.
본고는 미국 지역 사회를 겨냥한 여론 전략, 미국 내 여론 동향과 이를 토대로 한 전략적 글쓰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헐버트의 전략적 글쓰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취했다. 1) 영미 중심의 해외 영자언론과 어떠한 상호작용 속에서 지역 담론(‘극동문제’와 한국문제)를 만들어 냈으며, 2) 글쓰기의 전략적 의도와 목적은 무엇이었는지 3) 한국문제에 대한 미국 사회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어떻게 국제 여론을 활용했는지에 대해 밝혔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한국의 보호국화를 ‘극동문제’의 해결이라 선언했다. 그리고 한국을 자국의 영토에 흡수하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해외 영자언론을 주도한 영국 언론도 ‘한국 보호국화=극동문제의 해결’이라는 지역 담론을 내세우며 일본을 지지했다. 이는 한국을 문제 지역에서 제외시키면서 식민지화에 가속을 붙이기 위함이었다.
반면 미국 내에서는 러일전쟁 이후 샌프란시스코 일본인 문제와 일본의 만주 폐쇄 정책으로 말미암아 미국인들의 반일감정이 고조되었다. 미국 언론들은 일본의 팽창에 대한 위기감과 함께 황화론을 확산시켜 나갔다. 이들은 일본 팽창을 단순히 비난하지 않았다. 대신 ‘백인 문명국’의 이익을 해치는 ‘교활한 황인종 국가’로 묘사함으로써 극동 지역의 위기를 만들어 나갔다. 그러면서 일본에 의해 대만, 한국, 만주를 비롯하여 필리핀과 하와이,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인도까지 연쇄적 위협에 처해 있다는 세계 정치 지형을 조성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은 문호개방의 원칙이 적용되는 독립국이자 상업‧무역의 투자처로 부각되었다.
이와 같은 일본의 만주 독점 문제에 대한 영‧미 언론의 균열은 헐버트에게 호기로 인식되었다. 그는 한국문제의 대외 공론화를 위해 미국에 퍼져 있는 황화론(Yellow Peril)과의 접점을 모색했다. 미국의 ‘극동문제’를 활용하면 일본을 압박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헐버트는 1906년 12월 『코리아 리뷰』를 정간하고 고종의 명령을 받아 미국으로 건너갔다. 미국인이었던 헐버트는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활용하였다. 그는 미국 동부의 뉴욕(New York), 스프링필드(Springfield)와 서부의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를 거점으로 미국 지역사회 연결망을 통해 한국문제를 공론화했다.
헐버트는 일본의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서구가 만든 ‘극동문제’를 재현하며 한국문제에 대한 열강들의 공동 보호를 유도하고자 했다. 헐버트는 일본의 만주 문호폐쇄 정책을 둘러싼 미일 간 갈등을 한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