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내 광역시청사의 시민문화공간 배치 특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 Cultural Space Arrangement in the Metropolitan City Hall of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15-427(13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광역시청사는 공공청사 중에서 광역시를 대표하는 곳이며, 지방자치시대 이후 업무 공간으로 이용하는 공무원과 지역주민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주민이 사용하는 기능을 넓히고 편의를 제공하면서,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시민문화공간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광역시청사에서 나타난 시민문화공간의 배치 특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시민문화공간을 활용한 미래지향적인 광역시청사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8개의 광역시청사 중에서 선행연구를 한 3곳을 제외한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서울특별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5곳을 조사하였다. 그 후, 선행 연구에서 진행한 광역시청사를 포함한 8개의 국내 광역시청사에 대한 시민문화공간 배치 특성에 대해 종합,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이전연도에 따라 시민문화공간 활용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2010년 이후부터 시민문화공간 개념이 적용되면서 시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이 적극적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8개의 광역시청사중에서 서울특별시청이 가장 많은 시민문화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적극적으로 공간에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상 1층에 광역시청사 모두 시민문화공간이 위치해 있었고, 다음으로 지상 2층 이상, 지하 1층 이하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넷째, 5가지 시민문화공간 기능 중에서는 지하와 지상 1층 모두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기능이 가장 많았고, 지상 2층 이상은 공동체 의식 강화 기능과 지역 정체성 확보 기능이 공통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공간 중에서는 지하는 구내식당, 지상 1층은 은행, 지상 2층 이상은 전망대가 가장 많았다. (결론) 첫째, 시민문화공간은 지역주민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지상 1층과 건물의 고층을 적절히 이용하여 시민문화공간으로 확대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서울특별시청은 시민문화공간의 기능과 시설을 많이 활용한 우수한 공간 구성이며, 앞으로 여러 공공청사와 광역시청사 디자인에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시민문화공간 디자인을 할 때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의 광역시청사는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생활 중심의 기능이 확장되면서 시민문화공간이 다양하게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Background and Purpose) The increasing needs of citizens' cultural spaces that can be used for cultural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re expanding the functions used by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conven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oriented metropolitan city halls utilizing civic cultural spac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civic cultural space in Korea metropolitan city halls.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egu City Hall, Incheon Metropolitan City Hall, Ulsan City Hall, Seoul Metropolitan City Hall, and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Hall, except for three previous studies. Afterward, a comprehensive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ivic cultural space arrangements for eight domestic metropolitan city halls, including the metropolitan city hall that wa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ethod was review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Results) First, the degree of use of civic cultural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year. Since 2010, the concept of civil cultural space has been applied, and cultural space for citizens has actively expanded. Seco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the most civic cultural space among eight metropolitan city halls and actively used it. Third, citizens' cultural spaces we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above the ground where local residents had the best access, followed by two floors above ground and one floor below ground. Fourth, among the five civic cultural space functions, convenience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ones on both the basement and ground floors, and the two most common functions were to strength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ecure local identity. Fifth, among the spaces, the cafeteria was on the basement, the first floor above the bank and the second floor above the observation deck.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ivil cultural space by using the ground floor and the high floor of the building,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access more. Second, the excellent space composi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tilizes many functions and facilities of civil cultural space. It is considered as a great reference for including civil cultural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designs of various public buildings and metropolitan city buildings. Third, the future metropolitan city hall should expand the cultural space in various ways as the function of the cultural life center for local residents expand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2 | 0.692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