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도시재생 실행계획 연구 - 고성군 우리동네살리기 사업 중심- = A Study on the Urban Regeneration Action Plan - Focusing on the types of revitalization of Goseong-gun our neighborhood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84-592(9쪽)
제공처
동해안 최북단 최대 항구인 거진항은 1980년 소도읍 가꾸기로 해안도로가 개설되면서 새로운 도시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고, 명태잡이 등 어업의 호황으로 시장중심의 상권이 신설도로변으로 전이(轉移)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주 소득원인 어업이 계속 불황을 거듭하면서 인구의 유출이 심해져 인구감소뿐만 아니라 고용의 감소, 소통의 부재, 물리적 시설의 노후화가 가속화 되어 삶의 터전으로써 도시 지역이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도시 개발계획 전략 등의 내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도시 활성화에 대한 도시마케팅, 도시재생, 도시디자인 등 도시의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 특성에 맞게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고성군 거진리의 지역현황진단 및 여건분석을 통하여 도시 활성화를 위한 비전, 맞춤형 콘텐츠 및 추진전략 구상, 도시재생사업 세부계획 수립, 사업추진 거버넌스 운영 및 관리방안 수립, 단계별·연차별 추진계획 수립계획 등의 방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공원 및 도로개선을 통한 정주환경 재생, 일자리 거점 공간조성, 창업지원 및 마을협동조합 설립 등의 일자리 재생, 도시재생대학 운영, 자격증 취득과정 운영 등의 공동체 재생 등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에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마을구축 및 정주환경 개선을 통한 주민 편익증진 및 삶의 질 향상, 생활복지 구현을 통한 살고 싶은 마을 구축, 도시재생을 통하여 주민들이 협업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 마을주민들과 소통하고 화합하는 능동적인 도시재생 성공사례 구축, 주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공유문화 조성을 통한 도시재생 실현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을 추진함에 있어 물리적 요소 뿐 아니라 경제·산업요소, 사회복지·문화요소, 정책·제도의 요소들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추진을 위한 고성군 거진리의 효과적인 도시재생 실행계획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Geojin Port, the northernmost port on the east coast, opened a coastal road in 1980 as a small city construction project and began to renovate a new urban form. However, as the fishing industry, the main source of income, continues to stagnate, the outflow of population has increased, and not only the population decline, but also the decrease in employment, lack of communication, and aging of physical facilities accelerates the deterioration of urban areas as living areas. Accordingly, research to create urban values such as urban marketing,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design for overall urban revitalization including the contents of urban development plan strategies is continuing.
Urban regeneration refers to economic,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revitalization of a city that is declining due to population decline, industrial structure change, city indiscriminate expansion, and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local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vision for urban revitalization, customized contents and promotion strategy design, detailed urban regeneration business plan establishment, business promotion governance operation and management plan establishment, step-by-step and annual implementation plan through regional status diagnosis and condition analysis of Geojin-ri, Goseong-gun I want to study the direction of the establishment plan, etc.
Therefore, the goal of research i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 plans such as the regene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improving parks and roads, creation of employment base space, employment regeneration such as support for start-ups and establishment of village cooperatives, operation of urban regeneration colleges, and community regeneration such as operation of the certification process.
Through this study, improvement of residents'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creation of a pleasant and safe village and improvement of the settlement environment, construction of a desirable village by realization of living welfare, job creation and economy where residents can collaborate through urban regeneration It is expected to have effects such as revitalization, establishment of successful cases of active urban regeneration that communicates with villagers, and re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shared culture that residents can share. To this end, in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we analyze not only physical factors, but also economic and industrial factors, social welfare and cultural factors, and policy and system factors, and establish an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action plan for the city of Geojin, Goseong-gun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