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3D 입체영화 촬영공간(空間)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ow to Use Space for 3D Stereoscopic Movi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173(11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현재 국내 영상업계는 다양한 디지털 영상제작 기술 변화 속에서 3D 입체영상을 어떻게(생산자입장, 수용자입장)생산할 것인가에 대한 다각의 방법론적 기술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고는 3D 입체영화 촬영에 있어 관객들에게 편안한 영상제공을 위한 촬영 공간설정과 영상 안에 장치되는 공간미 술의 요소들 간의 입체 값 변인들에 대해 다루고자 하였다. 3D 입체영상은 사람들에게 시각적 인지과정을 통해 시야투쟁을 유발하며, 두통과 어지러움 증세를 보일 수 있다. 때문에 3D 입체영화 촬영공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하면 그러한 증세들을 방 지하고 최소화 할 것인지, 또 이를 위해 필요한 장 치들, 그리고 영상이미지 생산을 위한 선택적 측면 에서 촬영 공간 활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3D 입체영상의 모든 이미지가 2D영 상과 같은 방식으로 촬영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관객의 수용적 측면에서 보면 3D 입체 영상 이미지 수용결과는 전혀 다르게 인식되어지는것으로 나타났다. 3D 입체영상 촬영은 공간에 배우나 피사체를 사 각의 프레임 안으로 끌어들이는 단순한 작업이 아니다. 따라서 3D 입체영화 제작참여 스태프들은 3D 입체영상 촬영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속 적인 작업 훈련을 통해 제작에 참여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3D 입체영상은 공간 안에서 배우와 피 사체 또는 배우와 공간의 소품들과의 입체 값 설정 에 따라 영상의 의미가 다르게 나타난다고 말할 수 있다.
더보기The present 3D movie production industry in Korea barely has how to produce 3D images with ever-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from the stances of both the filmmakers and the audience), therefore it should be studied in divers methodological perspectiv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the filmmakers with the technical understanding of 3D movie making and, as a result, help the audience to enjoy the comfortable 3D images. This research excludes the 3D cinematography, but includes the follow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establishment for 3D shooting and the audience`s cognitive perception, and the parallax variables among the elements of the spatial art in movie production. The primary spatial perception of 3D images results from both the principle of human visual perception and the continuous training of the brain. The human visual cognitive perception in this process creates binocular vision, which often results in headache and vertigo. This paper shows the filmmakers how to minimize such symptoms by suggesting what kind of devices are required, how to choose right space and compose the devices in it, and how to use space, color and light effectively. The 3D movie shooting is not as simple as just dragging actors and other subjects into a rectangular frame. The 3D filmmakers must understand in full both 3D stereoscopic movie and its technological specifics in cinematography. The spatial establishment and composition of 3D cinema should also be based on 3D cinematography. Those who have done a 3D images project attest that they went through many tests and learned quite many aspects by trial and error. Though the 3D images usually are thought to be shot in the same process of 2D movie filming, the actual audience`s perception of the 3D image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2D images. Let`s say you shot the same subjects in both 2D and 3D under the same environment. A certain visual detail in 2D images may not be detected in 3D images. And, some detail in 2D images is perceived in a totally different way in 3D images. More studies of the cognitive principles and the audience`s perception should follow this paper.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예술과 미디어학회 -> 예술과미디어학회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10-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 예술과 미디어학회영문명 : Council for Advanced Media & Moving pictures -> The Korean Society of Art and Media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09-07-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3 | 0.23 | 0.531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