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성인 여성의 운동참여 빈도와 신체구성 및 혈관 염증관련 지표의 관련성 = Association of weekly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 with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Korean wom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65-75(11쪽)
KCI 피인용횟수
27
제공처
Background: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nutrition, hormone and exercise type in modulating lipid metabolism during exercise. However, there is no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frequency and inflammatory markers until recent.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weekly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 with body composition and inflammatory markers in Korean women.
Methods: We studied 58 Korean women who volunteered in a health promotion program.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s active (n = 31, above 3 days/week) and non -active (n = 27, 1~2 days/week) group based upon frequency of exercise participation during 3 months. We measured anthropometric factors (BMI, Percent body fat, WHR, and Abdominal fat area by CT scanning), BP, physical fitness, blood levels of glucose, lipids, fibrinogen, CRP, leptin, HbA1c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via ultrasonograph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2 way repeated ANOVA for group and time,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in individual groups as post hoc.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 < 0.05.
Results: The measures of basic adiposity (Body weight, BMI, Percentage of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leptin level were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in both groups. WHR, blood glucose, TG, CRP, and thigh fat area in active group were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but non-activ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in these items. A most part of skinfold thickness except for abdomen were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after exercise program in both groups. Active group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PEI, grip strength, sit-up, and sit and reach after exercise program, whereas non-active group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grip strength, and sit and reach after exercise program. Visceral fat area no significantly changed after exercise program in both groups, so it may be a difficult to decrease for visceral fat through exercise program in women.
Conclusion: Although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has a positive effects of body composition in adult women, active participation above 3 days per week should perform for protection against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in adult women.
연구배경: 운동 중 지방 연소를 조절하는 요인으로는 영양섭취, 호르몬, 운동종목, 운동강도, 운동시간, 운동빈도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운동빈도에 따른 비만과 관련한 혈관 염증관련지표의 관련성을 살펴 본 연구는 거의 없는실정이다. 이에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운동참여 빈도에 따라 신체구성 및 혈관 염증관련 지표와의 관련성 여부를보고자 하였다.
방법: 12주간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여성 58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적극적 참여군 (n = 31, 3일 이상/1주)과 소극적 참여군 (n = 27, 1~2일/1주)으로 구분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신체구성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엉덩이 둘레비, CT촬영에 의한 복부지방면적), 혈압, 건강관련체력 (신체효율지수, 악력,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혈중 지질변인 및 염증관련 지표 (glucose, lipids, fibrinogen, hsCRP, leptin, HbA1c, PAI-1, PWV and IMT)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기본적인 신체특성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과 혈중 렙틴 농도는 두 그룹 모두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유의하게 (P < 0.05) 감소되었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혈중 글루코스, 중성지방, 고감도 C-반응성 단백질 , 그리고 대퇴지방은 적극적으로 참여한 그룹에서만 유의하게 (P < 0.05) 감소되었으나, 소극적 참여그룹에서는전․후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피하지방 두께의 경우 복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항목에서 두 그룹 모두유의하게 (P < 0.05) 감소하였다. 체력은 적극적으로 참여한 그룹은 신체효율지수, 악력, 윗몸일으키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에서 유의하게 (P < 0.05) 증가한데 반해 소극적 참여그룹은 악력과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에서만 유의하게 (P < 0.05) 증가하였다. 내장지방 면적은 두 그룹 모두 운동프로그램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주 1~2회 정도의 소극적으로 12주간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더라도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피하지방두께 및 신체둘레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신체구성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주 3회 이상 적극적으로 참여할 경우 신체구성뿐 아니라 대사증후군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3-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비만학회지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2017-03-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7-0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3 | 1.148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