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제천의 의병장 이강년(李康秊)의 위정척사(衛正斥邪) 의식과 문학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and Literature of the Righteous Armies general Lee Kang-nyeon(李康秊) in Jech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3-165(3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雲岡 李康秊[1858~1908]은 군사 운용과 전술의 전문가인 무관으로서 민비 시해 사건과 단발령을 계기로 倡義 擧兵한 의병장이다. 그는 경상북도 문경 태생이지만 제천으로 柳麟錫[1842~1915]을 찾아가 그의 문인이 되는 동시에 유인석 의병 부대의 유격대장으로 활약하였다. 또 李恒老[1792~1868]의 『華西集』 간행에도 적극 관여하는 등 학문 연찬에도 힘을 썼으니, 그의 강력한 무장 항쟁은 위정척사론의 이념적 토대 위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강년은 의병장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다수의 詩文을 남기고 있고 그것들의 상당수는 그의 투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聞國變世禍, 漸至板蕩, 不勝憤激, 仍賦一律.」은 거병 즈음의 근심과 두려움, 육체적 고통과 투쟁의 의지가 진솔하게 토로된 작품이다. 「被擒時口號」는 적에게 체포되는 절망적 상황에서도 의연한 결기를 보여준다. 또 「囚在日憲兵所口號」는 헌병소에 구금되어 있으면서 쓴 시로, 구차히 살아남지 않을 것이며 죽어서도 항쟁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준다.
「告訣八域同志」는 옥중에서 전국의 동지들에게 영결을 고하는 글로, 거병의 계기, 무장 항쟁 기간, 戰績, 체포당한 경위, 사형에 직면한 심정, 투쟁의 이념을 기술하고 있다. 이 글에서 이강년은 반역자들이 충신과 선량한 사람들을 무고하게 살해하는 상황에서 양심의 격동을 참을 수 없었던 것이 거병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13년간 2차례 기병하였고 전투 횟수는 30여회, 전적은 왜적 100여명을 죽인 것이라고 하였다.
이강년은 인륜이 사라진 상황에 대하여 심각한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양심에 격동되어 거병하였으며, 존화양이의 의리를 위해 殉死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은 동지들에게 綱常을 돈독히 하라고 당부하였다. 이것이 이강년이 지닌 위정척사 의식이다.
『雲岡遺稿』에는 15편의 檄文類가 전한다. 그의 격문은 선명한 위정척사의 이념을 기반으로 삼고 있다. 그것들은 군사와 무기, 군자금 조달을 독려하는 격문, 伊藤博文을 통렬히 꾸짖는 격문, 일제의 앞잡이로 온갖 간악한 짓을 일삼는 一進會를 준엄히 꾸짖은 효유문, 각국의 영사관에 일제의 침탈을 고발하고 조국 해방의 타당성을 알리는 통고문, 군대의 기율을 알려 경계하는 글이다. 그중에서 募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격문으로서 전형성 갖는다.
Ungang(雲岡) Lee Kang-nyeon(李康秊)[1858~1908] was an expert in military operations and tactics as a military officer and he was a the righteous Armies general who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for Queen Min’s assassination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lthough he was born in Mungyeong, Gyeongsangbuk-do, he went to Jecheon to visit Yoo In-seok (柳麟錫)[1842~1915] to become his literary man and also served as a captain of Yoo In-seok’s righteous army. He also worked hard at study including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Lee Hang-ro(李恒老)[1792~1868]’s 『Hwaseojib(華西集)』, so Lee Kang-nyeon’s strong armed resistance was bas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Lee Kang-nyeon leaves a large number of poetry and prose as a rare case for the righteous Armies general, and many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his struggle.
「He heard the nation change and the world dizzy, so gradually became confused, and he did not stand the enragement and wrote a poem(聞國變世禍, 漸至板蕩, 不勝憤激, 仍賦一律.)」 is a work in which worries, fears, physical pain and the will of struggle are truly expressed around the time of raising an army. 「Poetry when he was arrested by an enemy(被擒時口號)」 shows a resolute impetuousness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being arrested by an enemy. In addition, 「Poetry while he was imprisoned in Japanese military police station(囚在日憲兵所口號)」 is a poem written while in a military police station, it shows his determined will to struggle even if he dies and not to survive wretchedly.
「Tell all over the country comrades before his death(告訣八域同志)」 is written in the prison to bid his last farewell to comrades from all over the country, it describes the cause of raising an army, the period of armed struggle, the record of struggle, the arrested situation, the feeling faced by the death penalty, and the ideology of struggle. In this article, he said that the cause of raising an army was that he could not stand the turbulence of conscience at a time when traitors were killing faithful and good people for no reason. He also said that he raised an army twice in 13 years, fought about 30 times, and killed more than 100 Japanese invaders. Lee Kang-nyeon had a serious sense of crisis about the situation in which humanity had disappeared, and he raised an army by being turbulent of conscience. Also, he was proud of dying for his country for the loyalty of Johnhwa Yangi(Revere China and expel the foreigners, 尊華攘夷) and he asked the remaining comrades to strengthen moral principles. This is the his consciousness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In 『Ungang-yugo(雲岡遺稿)』, 15 manifestos are presented. His manifestos are based on clear ideology of Wijung Chuksa(Protect Righteousness and Expel wickedness, 衛正斥邪). They are the manifestos of encouraging military, weapons and military funds, of scolding Ito Hirobumi(伊藤博文) severely, the persuasion of criticizing sharply Iljinhoe(一進會) which had done all kinds of atrocities as informer of Japan, the notification of accusing Japanese invasion and informing the validity of liberation to consular offices of each country, and the article of informing the discipline of the army. Among them, for the purpose of recruiting the army has typicality as a manifesto.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