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국왕의 『소학』 교육 강화와 성격 = 18th century Joseon kings’ efforts to reinforce Sohak education, and the nature of such effor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28(66쪽)
제공처
소장기관
성리학 문화권에서 지향하는 왕도정치는 통치주체의 도덕적 자율성을 전제한 것으로서, 그 문화권인 조선의 국왕과 지식인들 역시 철저한 修身의 과정을 통해 도덕적 권위를 확보해야하였다. 『소학』은 바로 수신의 실천이 유교적 이상사회를 성취하는 길이라는 확신 속에 꾸준히 읽혀졌던 책이기 때문에 이 책을 단순한 동몽교화서가 아닌, 조선사회의 가치 지향을 대변하는 책으로 간주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룰 18세기 국왕들은 君師를 자임하며, 사대부들에게 강력하게 수신을 요구받았던 것에서 나가 군주수신을 통한 도덕성의 제고를 주도적으로 행하고자 하였고, 아울러 조선의 사대부들에게 ‘성리학적 인간’을 요구하였다. 그들이 『소학』 주해서의 편찬과 간행을 주도하고, 『소학』 교육을 적극적으로 주도한 양상은 바로 18세기 국왕의 문제의식과 상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18세기 국왕의 『소학』 의 보급과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에 대한 검토를 통해, 국왕의 ‘군주수신’에 대한 강조가 국왕의 도덕적 권위를 ‘수신’의 행위에서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소학』의 주요 덕목인 ‘孝悌’ 역시 성리학적 사유의 관점에서 실천을 강조하였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그들이 『소학』에서 강조한 효제는 결코 가족 내에 국한되는 사적 범주에 얽매인 것이 아니었다. 그들은 효제를 “인간의 본성(仁)”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관점은 결국 ‘효제’를 ‘성인화’를 위한 가장 강력한 실천행위로 인식하게 하면서, 동시에 “효를 통해 요순에 도달할 수 있다”는 담론에 확고한 믿음을 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Governing based upon the Moral way for the kings(王道政治),” pursued in premodern Asian regions that shared the Neo-Confucian culture, was a concept that first and foremost required the rulers’ own moral consciousness. And in Joseon, which was among those regions that shared the same goal, kings and intellectuals were demanded to acquire moral authority through an exhausting and thorough character-building process. Sohak was a book that was authored upon a conviction which believed that character-building efforts was the real way to get to a Confucian ideal society. And it was read by countless readers who had such hope as well, so the book should be considered not as yet another simple children morality book, but as a book that represents the values and aspirations of the Joseon society itself.
The 18th century Joseon kings who are examined in this article not only considered but also declared that they were kings but also at the same time masters(“Gunsa, 君師”) for the unenlightened. For a change they did not stay complacent being asked by the Sa-Daebu scholar/officials to build a character, and instead started to ask them(the Sa-Daebu figures) to simply do their job of training and educating themselves. The kings wanted to lead the task of raising the people’s moral profile by having them engage in hard efforts, and demanded the Joseon Sa-Daebu figures to ultimately become ‘Neo-Confucian’ characters. And in such endeavor, the kings continued to compile and publish annotated translations of Sohak, and while also doubling their efforts of spreading education using this particular text.
From the 18th century Joseon kings’ aggressive efforts to spread and teach the contents of Sohak, we can see that the kings were emphasizing their own character-building efforts because they were intending to found their moral authority upon their own endeavor to build a character worthy of the throne. We can also see that the most important value of Sohak, which was filial piety and respect for the elders(“Hyoje, 孝悌”), was promoted for that very reason. These values were not to be observed only inside the family. The Joseon kings considered them as part of the human nature(which could also be labelled as Benevolence[“In, 仁”]). The Joseon kings were trying to present these two values as the most powerful and ensuring way to reach the status of past sages, and the most promising method to resume the governing of ancient emperors Yo and Sun.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