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면적 집단화’시기 러시아 연해주 수청(水淸)지방 한인농촌사회의 제문제 = Problems Facing Local Korean Communities in the Suchan region of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during the period of the Full-scale Collectiviz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3-232(80쪽)
KCI 피인용횟수
12
제공처
소장기관
이 글의 목적은 1922년말 시베리아내전의 종결이후, 특히 1929년이후 전면적인 집단화가 단행된 이후에 러시아연해주지역 고려인사회가 부딪혔던 제반 문제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 문제를 심도있게 살펴보기 위하여 연해주 지역 고려인사회의 전반적인 상황과 함께, 특히 빈농과 고용농민이 대부분이었던 수청지방을 초점을 맞추었다. 수청지역은 러시아연해주 지역에서도 산악지역에 해당하여 산골짜기마다에 한인마을들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곳의 한인거주자들의 대부분은 러시아국적이 없어 토지를 분배받지 못하여 러시아인 지주나 원호인들의 토지를 임대, 소작하거나 머슴살이하던 여호농민이나 고용농민들이었다. 이 점에서 수청지역은 오래전에 이주해 정착한 원호인(촌)들이 많았던 추풍지역이나 연추지역과도 크게 대비되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와 여호농촌마을들의 형성으로 국내나 다른 지역으로부터 이동해오는 정치적 망명객이나 사회활동가들이 많았다. 그 결과 수청지역에는 한말의병의 책원지로 인식되었고, 한말 미국에 본부를 둔 공립협회와 국민회의 지회가 조직되었고, 이후 러시아당국의 공식인가를 받아 활동했던 권업회와 비밀항일결사 철혈단(철혈광복단)의 지방조직들이 다수 조직되었다. 이러한 전통과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수청지역은 러시아혁명이후에는 항일빨찌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이었다. 시베리아내전의 종결이후 고려인사회에서는 소비예트화문제, 토지배당 문제, 농업집단화와 교육문화의 확대가 점진적으로 추진되었다. 1929년에 시작된 전면적인 농업집단화(꼴호즈화) 과정에서는 농촌계급분열에서의 ‘좌경’과 ‘우경’으로 상징되는 편향의 문제, 경쟁적인 꼴호즈화의 문제, 농민들의 자발적 참여의 결여, 지나치게 성급한 꼼무나화의 문제, ‘억지’로 꼴호즈에 가입시키려는 ‘억제적 꼴호즈’의 문제, 무계획, 졸속적인 조직으로 인해 단명으로 그치고 만 아르쩰리들의 속출과 그로 인한 악영향 등 여러 가지 시행착오들이 나타났다. 수청지역은 “원동의 유명한 빨찌산 기초초지대요, 혁명적 구역”으로 알려져 왔다. 그리하여 전면적 집단화이후 수청지역의 고려농촌사회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매우 선진적으로 나아갔을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수청지역의 상황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여러 가지 면에서 매우 열악한 상태에 처해 있었다. 그것은 구역집행위원회 간부들이 갖고 있던 대러시아민족주의와 고려인에 대한 민족적 차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수청지방의 농촌소비예트는 ‘지리적 표준’이 아닌 ‘민족적 표준’에 따라 조직되어 지나치게 넓은 지역을 포괄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 행정과 사회공공사업 진행에서의 불편과 지체가 일반화되고 있었다. 농촌계급 분렬이 제대로 되지 않은 결과, 꼴호즈 임원진에까지 여전히 토호, 부농, 투기업자, 협잡꾼들이 들어와 있어 꼴호즈의 사업의 장애물이 되고 있었다. 고려농촌소비예트의 경우 러시아말로 사무를 집행하여 러시아어 구사능력이 소비예트 임원선출의 기준이 될 수밖에 없었고, 소비예트 서기의 월급을 고려농민들이 추가 조달해야만 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언어문제는 ‘고려화(高麗化)에 대한 공산당의 결정과 지시를 실행하지 않은 결과였다. 또한 러시아어를 구사하면 ‘문명인’이고 고려말을 사용하면 ‘야만’이라는 고려인들의 사대주의적 태도와 고려민족을 깔보던 러시아인들의 대러시아민족주의의 결과였다. 대러시아민족주의에 물들은 구역집행위원회 러시아인 간부들이 무토지 고려농민들을 위한 토지정리와 배당, 곡물수매 배정에서 차별적으로 사업을 집행하여왔고, 아동교육이나 사회정치교육에서 의식적인 무관심과 왜곡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심지어 구역집행위원회의 간부당원들이 고려인빈농이나 고용농민에게 토지를 임대, 소작하거나 고려농민들에게 각종 잡세를 부과하는 나쁜 관행을 계속하고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The Suchan region is a mountianous area in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where Korean villages were located at almost every valley. Most of the Korean residents were landless foreign peasants(餘戶, yeoho) or farmhands who had recently immigrated to Russia. This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Sufen region or the Ianchikhe region where there were large villages of Korean-Russian(原戶, wonho) population . Considering such a geographical and demographic situation induced a lot of anti-Japansese Korean activists from the border areas of Korea and Manchuria. Accordingly, Suchan was considered as a strategic base for anti-Japanese partisan activities. Branches of the anti-Japanese organizations such as the Kongnip Hyeophoe(United Koreans Association), the Kungminhoe(Korean National Association), Kwoneophoe (Work Promotion Association) and Cheolhyeol-dan(the Union of Iron and Blood) were organized in the Suchan region. Together with these historical tradi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Suchan region became the center of anti-Japanese and red-guard partisan activitie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Siberian Civil War, the sovietization, land-allotting,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were gradually carried out in the Korean communities in the Russian Far East. The drastic full-scale collectivization in 1929 brought about several problems such as a tendency of ‘extreme right’ or ‘extreme left,’ competitive collctivization, the lack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ers, impatient communization, and forced membership of kolkhozes, the successive appearance of short-lived artel's caused by unplanned and hasty organization. The Suchan region was well-known to have been “a center for partisan activities and revolutionary area.” Accordingly, Suchan was expected to have advnanced further in economic, social, economic, educational and cultural improvement than any other regions in the Russian Far East. However, the Suchan region was in a worse condition compared to other regions. It was basically caused by the Great Russian nationalism and national discrimination held by the Russian executive members of local Russian Communist Party, soviet and other administrations. Village soviets in the Suchan region included too distant areas, for they were organized on the basis of the ‘ethnic standard’ rather than of ‘geographical standard.’ Inconveniences and delays in the administrative process of carrying out public projects were frequently repeated in the Suchan region. Kulaks holding responsible posts in the kolkhozes were still obstacles in the way of carrying out kolkhoz projects. The official use of the Russian language in official conferences, administrative documents and directives also deteriorated the situation. Korean village soviets had to elect a Russian-speaking person for the executive committee regardless of his capability and personality. Korean village people also had to recruit sectretaries for their soviets from other regions. They had to prepare additional fund for the salary of the soviet secretary. Those language problems facing Korean farmers were caused by the local Russian Communist cadres who did not observe the party policy of the ‘Koreanization(Koryeohwa) which the Russian Communist Party and local government had adopted earlier. Deeply-rooted cultural and political belief of the Great Russian nationalism was the major cause for all problems facing Korean peasants in the Suchan regio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