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소리와 유희의 세계 - 바스 뵈트혀의 시학 = Die Welt von Klang und Spiel – Bas Böttchers Poesi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9-126(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Seit Anfang der 90er Jahre bringt Bas Böttcher als erster deutscher Slam-Poet und mehrmaliger Gewinner der deutschen Poetry-Slam-Meisterschaften seine Slam-Poetry auf die Bühne. Nach seinem Erfolg als Slam-Poet veröffentlichte er Sammlungen seiner Bühnentexte in Form eines Gedichtbandes mit CD.
Die vorliegende Arbeit setzt sich hauptsächlich zum Ziel, durch Textanalyse die sprachlich-formalen und inhaltlich-stilistischen Merkmale der Slam-Poetry Böttchers zu extrahieren. Die Analyse seiner Texte verdeutlicht zuerst, dass Klang und Rhythmik für ihn wesentliche Elemente darstellen, was u.a. in seinen Gedichten wie der Tanz, Liebeserklärung an eine Chinesin oder Dot Matrix deutlich erkennbar wird. Dies ist auf seine Einstellung zurückzuführen, dass Dichtung immer „ein sinnliches akustisches Erlebnis“(Böttcher 2003, 67) sei. Zweitens ist zu beobachten, dass eine Struktur der Wiederholung durch gleiche Wörter, Wortgruppen, Zeilen bzw. Strophen (Refrains) herrscht. Vor dem Hintergrund dieser Beobachtung sollte besonders auf das Gedicht Nach dem Loop: Leben aufmerksam gemacht werden. Unter einem Loop, also einer Schleife, wird eine Kontrollstruktur in Programmiersprachen verstanden, die einen Anweisungsblock endlos wiederholt, solange die Schleifenbedingungen als Laufbedingung gültig bleiben bzw. keine Abbruchbedingung eintritt. Das „Loop“ im Gedicht verkörpert einen Wiederholungszwang in unserem Leben. Zuletzt kommt bei Böttcher die Kritik an unserer Konsumgesellschaft und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m konventionellen Literaturbetrieb zumeist mit einem Unterton spielerischer Leichtigkeit zum Ausdruck.
브레멘 태생으로 독일 최초의 슬램 포이트리 Slam Poetry * 한국교원대학교 독어교육과 (hmelinux@knue.ac.kr) 자작 텍스트를 일정한 시간 내에 청중 앞에서 낭송하고, 청중 전체 또는 별도의 심사단에 의해 평가를 받아 우승자를 가리는 일종의 낭송 경연대회 Vortragswettbewerb를 ‘포이트리 슬램 Poetry Slam’이라고 부르는데, ‘슬램 포이트리’란 일반적으로 포이트리 슬램 대회의 틀 속에서 낭송할 목적으로 창작되는 모든 종류의 자작 텍스트를 말한다(Vgl. 강태호 2015, 129ff.; Preckwitz 2005, 31; Smith/Kraynak 2004, 3). 독일어권 ‘포이트리 슬램’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김요한(2006), Yoo, Hyun-Joo(2010), 유현주(2012) 등이 있으며, ‘슬램 포이트리’에 대한 국내 연구로는 강태호(2015)가 있다.
시인으로 불리는(Neue Zürcher Zeitung 2009) 바스 뵈트혀 Bas Böttcher(1974∼ )는 바이마르의 바우하우스 대학에서 공부했고 90년대 초반부터 포이트리 슬램 및 슬램 포이트리를 독일에 알리기 시작했다. 그는 1991년 디제이 DJ 로리스 네그로 Loris Negro와 함께 ‘첸트리푸갈 Zentrifugal’이라는 힙합 밴드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지만, 그가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1997년 베를린에서 개최된 독일 최초의 포이트리 슬램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것을 비롯하여 그 이후 열린 포이트리 슬램 대회에서 여러 번 우승을 하게 되면서이다(http://www.literaturport.de/Bas.Boettcher/). 그는 독일문화원 Goethe Institut의 초청을 받아 뉴욕의 포이트리 축제에서 공연을 하기도 했고, 독일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나라 무대에 서기도 했다. 2000년부터 그는 베를린에서 활동하면서, 특히 슬램 포이트리와 비디오 영상을 결합한 포맷인 ‘포이트리 클립 Poetry Clip’의 발전 및 정착에 노력하고 있으며, 뵈트혀는 2005년 베를린의 영화감독이자 ‘슬램 매스터 Slam Master’(포이트리 슬램 대회 주최자)인 볼프 호게캄프 Wolf Hogekamp와 함께 포이트리 클립을 제작하여 DVD 형태로 출판한 바 있다(Vgl. Hogekamp/Böttcher 2005).
2008년부터는 여러 학교와 단체들을 대상으로 포이트리 슬램 워크숍을 개최하고 있다. 2009년 발간한 교과서 Lehrbuch인 『포이트리 슬램 탐험 Die Poetry-Slam- Expedition』(Frederking/Krommer 2009)은 그 첫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수업을 위한 뵈트혀의 무대 텍스트들과 글들이 CD 및 DVD와 함께 실려 있다.
뵈트혀는 슬램 포이트리 시인들 중에서도 유난히 ‘소리 Laut/Klang’에 집착한다. 그가 문자 형태의 시집이나 시모음집 출판을 꺼려왔던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 그는 시가 문자 형태로 출판되면 소리 특성을 상실한다고 보았기 때문에(Böttcher 2003, 69), 시집/시모음집 출판을 결정한 이후에는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신이 직접 낭송해 녹음한 오디오 CD나 비디오 클립이 포함된 DVD를 시집/시모음집에 끼워 출판해오고 있다. 그는 2006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자신의 첫 번째 슬램 포이트리 시집인 『이것은 콘서트가 아니다 Dies ist kein Konzert』를 펴냈으며, 2009년에는 두 번째 슬램 포이트리 시집인 『신유목민 Neonomade』을, 2012년에는 당시까지 그가 쓰고 낭독한 모든 슬램 포이트리 텍스트들을 묶어서 시모음집 『지나가는 아름다움 Vorübergehende Schönheit』을 발간했다. 『이것은 콘서트가 아니다』에 실린 시 텍스트에 대한 인용은 약어 ‘DkK’와 쪽수로 표기하고, 『신유목민』에 실린 시 텍스트에 대한 인용은 약어 ‘N’과 쪽수로, 『지나가는 아름다움』에 실린 시 텍스트에 대한...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2 | 0.425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