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교육대학교 초임 교수의 수업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into the Teaching Experiences of a Novice Professor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7-236(3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초임 교수의 수업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A 교육대학교에 임용되고 한 학기 수업을 마친 초임 교수이자 이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조재성 교수이며, 연구의 자료는 주 연구자와 공동연구자 사이의 다섯 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의 결과 초임 교수 조재성은 연구를 중요시했던 반면 수업에 대해서는 안이한 자세와 함께 대학 수업은 강의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으로 첫 학기를 맞이하였으며, 그렇게 시작한 수업에서 신체적 어려움과 학생들의 부정적 피드백이라는 문제를 겪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그가 수업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새로운 교수법과 수업 전략을 모색하고 시도해 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교육대학교에서의 수업과 교육대학교 교수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인식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임 교수들이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현상, 수업 경험이 초임 교수에게 교수자로서의 성장을 가져다준 점, 문제의 인식과 성찰을 통해 성장이 이루어진다는 측면, 그리고 대학의 조직적 요소가 교수 개인의 수업 인식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더불어 논의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교수의 수업 적응과 개선을 돕기 위한 대학 차원의 노력과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초임 교수의 수업 경험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teaching experiences of a novice professor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articipant, Professor Jae-seong Jo, a newly appointed faculty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o had just completed one semester of teaching, was also a co-researcher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xtensive interviews on five separate occasions, and their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Professor Jo initially held a fixed mindset, emphasizing research over teaching and believing that university teaching should be lecture-centered. However, this approach brought him physical challenges and negative student feedback. Theses issues promoted him to engage in self-reflection, leading him to explore and experiment with new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Through this process, Professor Jo came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redefine his identity as an educator at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on several aspects regarding teaching at the university, which includes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among novice professors, the role of teaching experiences in their professional growth, the notion that growth occurs through problem recognition and reflection, and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within the university on faculty members’ perceptions of teaching. Furthermore, the study proposed university-level efforts and support mechanisms to assist novice professors in adapting to and improving their teaching practices. I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its directions to expand understanding of novice professors’ teaching experienc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