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89년 이후 동독 여성운동의 발전과 특징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women’s movement in East Germany since 1989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0(20쪽)
제공처
구동독시대의 ‘비국가적’ 여성운동은 동독의 자율적 여성운동의 출발이 되었고, 1989 년 가을 체제전환기 단기간에 구동독지역에서 다양한 여성단체들이 형성되고 자율적 여성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체제전환기라는 구동독의 특수한 상황에 정치적 산물로 형성된 독립여성연합은 서독의 자율적 여성운동과는 달리 제도권 정치로의 참여와 자율적 운동의 두 가지 전략을 동시에 시도하면서 동독 여성 운동의 특수성을 보여주었지만 급변하는 대내외적 환경아래 구성적 이질성, 프로그램적 모순, 행동선택의 불명료성을 극복할 수 있고, 여성의 집합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조직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원동원에 실패함으로써 1998년 해체되었다. 통일 이후 동독지역의 여성운동은 조직과 프로그램 측면에서 서독 여성운동에 동화되어 외형적으 로는 차별점이 보이지 않으나, 실제적으로는 서독지역의 여성단체들 보다 국가와 제도정치권에 대하여 거부감이 적고, 정치적 테마보다 문화적 테마에 더 많은 관심과 이해를 갖고 있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구동독시대의 사회화의 유산, 그리고 체제전환기와 통일을 거치면서 새롭게 당면한 여성문제와 경험 등이 동독지역의 여성 운동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더보기The autonomous women’s movement in east Germany emerged from the women s movement of unofficial women s groups in German Democratic Republic. It became the driving force with which women in east Germany could create various women s groups and develop the women s movement quickly in the period of transformation of the GDR in 1989/1990. The ‘Independent Women s Association was founded as a national umbrella organization the of various local women s groups in east Germany in 1989.
It tried to accomplish the double strategies of having an autonomous women s movement and political representation within the state and its institutions, while the autonomous women s movement in west Germany kept its distance from the state and political institutions. The Independent Women s Association was dissolved in its short history in 1998, because it could not overcome its structural conflicts, the contradictions of it’s programme, the ambiguity problem of it’s activities and failure to adapt itself in the dramatically changing political, social, economical circumstances in east Germany. Since the middle of the 1990th, the women’s movement in east Germany formally has been assimilating into the women’s movement in west Germany. However the women s movement in east Germany has differences from the women s movement in west germany. Women s groups in east Germany don t think less negatively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te or the political institutions, and have more interests in cultural issues than political issues. These differences came from the inheritances of a socialist socialization in the GDR and the special experience and urgent womens issues in east Germany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