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영상의 더빙 방식이 만든 문화적 신화와 왜곡된 실재 분석-80년대 우리말 녹음 TV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n Examination of the Cultural Myths and Warped Realities Created by Dubbing -focused on dubbed TV programs in the 1980s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6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23-433(11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 논문은 더빙 방식이 동영상 콘텐츠의 언어 번역 매체일 뿐 아니라 문화의 시대적인 소통과 이에 따른 신화를 만들어온 영향력 있는 수단으로 기능해왔음을 논의한다. 각 가정에 컬러텔레비전이 보급되며 해외에서 제작된 외화시리즈들이 활발히 유통되었던 80년대는 우리나라에서 더빙 방식의 사용이 전성기를 누린 시대였다. 당시 수입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우리말 녹음’ 방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전달된 타문화와 이 전달과정에서 은폐되거나 왜곡된 실재를 분석하고, 더빙이 만들어낸 문화적 신화와 환영 및 서구문화와 일본문화의 수용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빙은 나치즘이나 파시즘과 같이 강력한 정치 체제에서 선호한 방식으로, 원본의 소리와 언어를 삭제하고 자국의 언어를 덧입히는 과정에서 사전검열과 조작을 통해 이데올로기 전파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지역의 방언이 다양한 나라의 경우, 언어의 표준화와 단일화를 위한 수단이었으며, 자국의 정서와 현실에 맞게 내용을 변형하는 토착화의 형식을 취했다. 이처럼 더빙은 언어의 보편성, 체제에 따른 검열, 수입된 콘텐츠의 현지화 사이의 경계에서 끊임없이 줄타기하며 문화전달 매체로서 정치적, 사회적 기능을 수행해왔다. 80년대의 ‘우리말 녹음’ 방송프로그램을 되짚어봄으로써 더빙 방식을 문화적 신화를 해체하는 하나의 열쇠이자 번안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수입국과 수출국의 권력관계를 전복할 수 있는 재영토화의 전술로 재해석했다. 나아가, 90년대 이후 대중매체에서 점차 사라져가는 더빙 방식을 여전히 유효한 영상매체로 예술 매체와 뉴미디어에 접목할 가능성을 더빙의 모순과 오류로 인식되는 휴지기와 접합점의 틈새, 서로 다른 신체와 목소리의 조합에서 오는 불일치와 간극에서 발견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더보기This paper looks beyond the general concept of dubbing as a screen translation method and discusses it as an influential medium for enabling cultural communication and creating cultural myths and illusions. Dubbing was the main translation method in the 1980s in Korea when color televisions were widely distributed and many television programs were imported from America and Japan. By examining some of the popular imported television programs dubbed in Korean,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foreign culture was delivered and readily adopted by dubbing as well as how certain realities were concealed or warped in the process. Dubbing was strategically used under strong political systems such as Nazism and Fascism to apply censorship and spread ideology. It was also a tool to standardize the national language in countries where people used a variety of provincial dialects, and the content was often domesticated for the target audience. As a cultural translation method, with its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s, dubbing lies on the boundaries among linguistic norms, censorship, and indigenization. Through research on dubbed programs from the 1980s, dubbing is reevaluated as one of the key methods of deconstructing the cultural myths as well as a reterritorialization tactic to subvert the power structure of countries that import and export media content. Furthermore, although dubbing became less preferred in Korea after the 1990s, this paper proposes extended possibilities of how dubbing can still be a creative medium for time-based artwork and new media by directing the attention to its obscurities and errors, awkward pauses and gaps, and traces of imperfection in dubbing``s patchwork of different voices and image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2-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4 | 0.512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