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미국 역사인류학의 추이와 동향 : 미국 인류학의 역사 수용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Tendency of American Historical Anthropology-Focused on the Process of Taking History into American Anthropolog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8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3-73(31쪽)
KCI 피인용횟수
3
비고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제공처
본 연구는 共時的 관점에 머물렀던 초기 미국인류학이 역사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진화론적 이론으로 무장한 미국인류학은 래드클리프브라운과 말리노우스키와 같은 구조기능주의자들과 현장을 중시하며 문화 상대주의를 강조한 보아스와 그의 제자들을 거치면서 '이론 만들기'를 외면하는 경향을 보일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접근마저도 등한시하게 되었다. 20세기 중반까지도 역사는 미국인류학에서 중요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다가 민족지학 (Ethnohistory)과 역사인류학(Historical anthropology)의 등장으로 인간 이해에 있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즉, 인간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에 공시적인 접근방법이 장애를 만났을 때 通時的 방법에 대한 요구가 등장한 것이다. 이에 부흥하듯, 미국인류학에서 역사적인 방법은 사회/문화에 대한 이해에 상당한 공헌을 하게 된다. 민족지학은 한 사회/문화에 대한 단편적인 이해에서 벗어나 전면적인 역사적 재건을 시도한다. 칼맥(Carmack)에 따르면, 민족지학은 역사적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인류학의 한 분야로 주제에 따라 특수한 역사(specific history), 역사적 민족지(historical ethnography), 민속 역사 (folk history)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방법론으로서 민족지학은 그 동안의 인류학적 결과물을 종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미국에서의 역사인류학(Historical anthropology)은 역사사회학의 성공에 영향을 받은 측면이 있는데, 민족지학과 유사하게 인류학적 성과를 종합하지만 거시적인 관점을 보인다는 것이 민족지학이나 유럽의 역사인류학과 다른 특징이다. 민족지학과 역사인류학 모두 역사적 방법을 위주로 인간 사회/문화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인간의 총제적인 이해라는 인류학의 목적에 공헌하였다.
더보기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taking history into the 'anthropology without history' in America. In the late 19th century, American anthropology begins with an evolutionary theory, such as that of Radcliffe-Brown and Malinowski. Boas and his students, historical particularism, have responsibility for leading American anthropologists to field work(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neglecting theory building process. Until the mid-20th century, history had not been popular in American anthropology. The appearance of ethnohistory and historical anthropology is the result of realizing importance of history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When a synchronic understanding of human society/culture meets with an obstacle, a diachronic method is in need. Historical method in anthropology contributes our understanding of society/culture to no small degree. Ethnohistory is a historical reconstruction of the society/culture, which has been understood partially. According to Carmack, ethnohistorians study specific history, historical ethnography and folk history, which i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subject matter. As a methodology, ethnohistory is a synthesis of anthropological outcomes. Historical anthropology, influenced by historical sociology, is another synthesis with a large scale perspective. Ethnohistory and historical anthropology render great services to the anthropological aims, the expansion of our understanding of society/cultu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