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패턴과 혈청성분함량 = Dietary Intakes and Serum Component in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3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4-136(13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섭식양상과 혈청성분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BMI,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및 혈압과 혈청성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fp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차상자 66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체지방, 신차둘레, 피하지방두께, 혈압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고 혈청성분을 분석하였으며 비만도에 따라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1) 수축키와 확장기혈압이 모두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고도비만군이 높았다2) 섭식양상에서 식습관 중 아침결식률이 전체 비만군에서 59.18%였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일 평균 열량섭취량은 경도비만군이 1823.91 kcal, 고도비만군이 1740.97kcal로 각각 권장량의 91.20%, 87.05%로서 권장량보다 낮았으며, 고도비만군이 경도비만군에 비해 오히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두 군의 1일 영양소섭취량은 단백질 인, 비타핀A, 비타핀B₁, 나이아산, 비타민C의 경우 권장량을 초과했으나 칼슘, 철,비타민B₂는 권장량의 66.28%, 67.38%, 84.23%로 권장량 이하로 유사연령대의 일반여성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으며 콜레스테롤섭취는 두 군이 모두 1일 권장량인 300 mg미만을 초과했다. 3) 혈청성분 중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게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정상보다 높은 수준이었곤, 유리지방산과 ALT는 특히 고도비만군에서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 경도비만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경우 비만도에 따라 유리지방산과 ALT의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총항산화능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 모두에서 정상범위였으나 낮은 수준에 속하였으며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혈청성분과 신체계측치 및 혈압과의 상관관계에서 유리지방산이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힙둘레, WHR과 양의 상관성을 보여 AST, ALT가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중년기 복부비민자서 섭식패턴의 문제는 과열량섭취보다 아침결식의 습관에 있으며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평균함량은 정상수치보다 높다 또한 유리지방산과 ALT의 함량은 경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유리지방산, AST, ALT가 체지방 및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신체계측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um component and the nutritional aspects of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who are 30 to 55 years old, in order to find the physiological causes and problems of middle-aged abdominal obese women in Korea.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Results: 1) As for the diet pattern, 51.72% of pre-obese group and 70% of obese group do not have breakfas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average daily caloric intake is 1823.91 kcal and 1740.97 kcal for pre-obese group and obese group, respectively which are 91.20% and 87.05% of RDA. It is lower in obese group than in pre-obese group, bu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intake more protein, phosphorus, vitamin A, vitamin B1, niacin and vitamin C than RDA, but intake less calcium, iron, vitamin B₂, than RDA, corresponding to 66.28%, 67.38% and 84.23% of RDA, respectively. Obese group and pre-obese group exceed RDA of 300mg.
2) Th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are higher in both groups than normal.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is higher in obese group than pre-obese group,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s means that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ntioxidant, AST, but ALT between two groups. The total antioxidant is low and in a normal range in both groups.
3)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are related with weight, BMI, body fat, abdominal circumference, waist circumference, significantly.
Conclusion: Comparing pre-obese group with obese group, abdominal obesity of women is related with regularity and with diet pattern such as "skipping breakfast" more closely than caloric intake is. The free fatty acid and ALT concentration substantially depends on obesity level in abdominal obese women and the free fatty acid, ALT and AST concentration is related with abdominal obesity.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