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사회변혁이론과 민주-통일 변혁론의 재정립 = Theories of Social Revolution in South Korea and Reconstruction of Unification-Democratic Revolu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00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1-99(29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This paper deals with the debates on Korean Social formation in the 1980s. The debate sought to find a way of revolution by dealing scientifically with the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and was based on the three spirit of 'people, nation, democracy'. Therefore, the debate was not only a product of a Ideological radicalization, but a product of a very Korean movement that actively sought to overcome the problems Korea had at the time.
The debate on Korean Social formation in the 1980s started from a debate of CNP to seeking a combination of class contradiction and national contradiction and Hyun-Chae Park’s theory of national economy tried to clarify the "discordance betwee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national economy" with Korean specificity. Thus, the activist group NL/PD can not be classified as ‘national liberation’ and ‘people’s liberation.’ Both groups sought a NLPDR(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They did not deny ‘national liberation’ or ‘people’s liberation.’ Rather, the issue was in the ‘PDR.’ Because the NL claimed ‘anti-feudal PDR’ but the PD claimed ‘anti-monopoly PDR.’ However, the NL/PD reduce the task of unification rooted in the Korea’s division to the task of ‘anti-imperialism national liber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nti-imperialism against the oppressive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1980s, the conflict between NL / PD has led to ‘over-ideologization reducing to anti-imperialism’ and ‘over-ideologization reducing to class struggle.’ Here, unification became identifiable with national liberation and unable to occupy its own place. Therefore, this paper sets ‘contradiction of division’ in addition to ‘class contradiction’ and ‘national contradiction’ and diagnoses the situation from the view of over-determination of contradictions. Also, this paper argues that we arrange a sectoral movement such as labor, unification, women movement around the center of ‘democratization’ and must make ‘unification’ itself a process of realizing universal values of mankind.
이 논문은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을 다루고 있다.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당시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던 모순들을 과학적으로 다룸으로써 변혁의 길을 찾고자 했던 논쟁으로, ‘민중, 민족, 민주’라는 삼민의 정신 위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단순한 이념적 급진화의 산물이 아니라 그 당시 한국이 처한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타개하고자 했던 대단히 한국적인 해방운동의 산물이었다.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CNP논쟁에서부터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의 결합’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며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은 “국민경제와 민족경제의 불일치”라는 한국적 특수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NL/PD는 ‘민족해방’과 ‘민중해방’으로 단순하게 분류될 수 없다. NL/PD는 모두다 NLPDR(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을 추구했다. 따라서 NL도 PD도 ‘민족해방’이나 ‘노동해방’을 부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쟁점은 ‘PDR’에 있었다. 왜냐 하면 NL은 ‘반봉건PDR’이라면 PD는 ‘반독점PDR’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NL/PD는 분단현실에 대한 문제로부터 출발한 통일이라는 과제를 ‘반제민족해방’으로 환원했다. 아울러 1980년대 폭압적인 군부독재에 대한 반정립의 과정 속에서 NL/PD의 대립은 한편에서 ‘반제환원론적 과잉이념화’로, 다른 ‘계급투쟁환원론적 과잉이념화’로 나아갔다. 여기서 통일은 민족해방과 동일화되었고 자신의 고유한 자리를 차지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계급모순’, ‘민족모순’ 이외에 ‘분단모순’을 설정하고 모순의 중층결정이라는 관점에서 정세를 진단하고 ‘민주변혁’을 중심으로 노동, 통일, 여성운동과 같은 분야별 운동을 배치하고 ‘통일’을 인류보편적 가치의 구현과정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3-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9 | 1.222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