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日本史B』교과서의 廣開土王碑 관련 서술과 역사인식 = Description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and Historical Recognition in Japa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199(37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This research analyzes historical perception that emerg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King Gwanggaeto stele text and the use of learning materials in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ese high schools. In Japa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King Gwanggaeto stele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support the ‘Imna Ilbon-bu’ along with the same historical materials that have been included in history textbooks since the 1960s. In the history circles of Korea and Japan, it is a common view that the ‘Imna Ilbon-bu’ of Nihonshoki has been overcom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However, it is problematic that the current Japanes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still contains the same learning materials that the existing ‘Imna Ilbon-bu’. In disguise, ‘objectives’ are instilling distorted historical perceptions in Japanese high school students.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uses historical materials compiled in the same unit as King Gwanggaeto stele to mechanically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Japan and the Korean Peninsula to plant false historical awareness. Th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described as a friendly relationship, is part of the world of Japan, and through the war with Goguryeo, a historical view is included in the world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nd, the historical view, which had been presenting the legitimacy of colo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ncient historical materials, shows that the history textbooks still retain their vitality to this day.
이 글은 일본 고등학교『日本史B』교과서에 수록된 광개토왕비 관련 서술과 역사인식을 검토한 것이다. 채택률을 기준으로 상위 4위에 해당하는 출판사의 현행 역사교과서를 통해 본문 서술의 특징과 학습자료의 활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역사교과서에 내재되어 있는 고대 한반도 관련 역사인식을 엿볼 수 있었다.『日本史B 』에서 광개토왕비는 七支刀, 宋書 「倭王武의 上表文」, 日本書紀와 함께 일본서기에만 있는 임나일본부설과 삼한정벌론을 되살아나게 하는 학습자료로 활용되고 있었다. 『日本史B 』의 본문에 기술된 내용은 대동소이하며, 광개토왕비에 관한 설명은 비문의 일부 내용인 신묘년조 기사를 해석해 놓은 전문 형식이다.
그러나 같은 단원에 광개토왕비와 함께 수록되어 있는 학습자료로 활용된 사료는 일본 역사학계에서 일본서기의 신공황후기의 남한경영론이나 삼한정벌론을 입증하는데 전통적으로 활용해온 자료이다. 현행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에도 여전히 동일한 사료가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의 대표적인 古書인 일본서기가 안고 있는 신뢰성 문제를 당대의 인물이 직접 제작한 1차 사료에 의거하여 史實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4세기∼6세기의 왜왕권은 한반도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강한 국가였음을 강조하기 위해 영토관, 천하관을 내세우기도 하였다. 역사가에 의한 사료 해석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사료가 가지고 있는 근원적인 역사적 가치는 전혀 설명하지 않고 해당 시기의 정치적 논리를 해명하는 자료로만 활용된다면 역사교과서에서 사료의 역할은 역사인식을 조작하는 도구에 불과하게 된다. 『日本史B 』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광개토왕비의 신묘년조 기사 내용과 임나일본부설 관련 내용이 한국사 교과서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한반도의 역사를 일본 제국주의의 잘못된 과거사를 정당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우리 청소년들에게도 ‘광개토왕비와 임나일본부설’ 혹은 ‘광개토왕비와 일본서기’의 관계를 폭넓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 | 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4 | 0.96 | 1.598 | 0.5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