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형별 고찰(考察)
저자
임수정 (경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43(35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본 연구는 현행 각 지역 향제교방검무 형성에 영향을 끼친 조선시대 궁중검무의 유 형별 공연양상을 궁중연향을 기록한 각종 의궤(進宴儀軌,進饌儀軌,進爵儀軌 )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등의 문헌사료를 중심으로 고찰(考察)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각종 의궤와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기록된 궁 중검무의 유형은 검기무(검무), 첨수무, 공막무로 나타나고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의궤의 악장의 기록을 통해 검기무와 공막무의 유래를 중국 진나라 말기 홍 문연의 잔치에서 벌어진 고사에서 인용하고 있고 첨수무는 속칭 엽무라 불리우던 춤 인데 영종조에 첨수무로 개칭되었음을 알 수 있다.또한 검기무는 여기(女妓)에 의해, 첨수무는 여기 및 무동(舞童)에 의해 공막무는 무동에 의해 2개의 검기(劍器)를 들 고 추는 춤으로 나타난다. 또한 다른 궁중정재와 달리 공연 시 창사(唱詞)를 부르지 않는 형태로 공연하였다. 둘째, 의궤의 공령에 기록된 궁중검무 복식과 권수도식의 정재도 및 복식도를 통하여 살펴본 궁중검무의 유형 중 검기무(검무)와 공막무의 복식은 전복(戰服)의 형태를 띠며 첨수무 역시 소매가 좁은 형태의 상의(狹袖)와 쾌자형태의 옷인 반비의(半臂 衣)와 전대를 띠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의궤에 나타난 공령의 기록(各差備)과 정재도 및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을 통 해 살펴본 궁중검무는 유형별로 2, 4, 8명에 의해 두명씩 짝을 이루어 각각 검 두 개 를 들고 추어졌음이 나타난다. 넷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별 반주음악은 검기무와 공막무는 무령지곡을 연주하고 첨수무는 만천춘지곡을 반주음악으로 사용하고 연주시 모두 향당교주 방식으로 연주한다. 다섯째, 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춤의 진행방식에 있어 검기무는 춤을 추 기 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면 춤이 시작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춤을 추다가 춤의 중간에 악사가 검기를 가져다 놓고 좌우로 나가는 형식을 띠고 있 다. 여섯째,정재무도홀기의 기록에 나타난 궁중검무의 유형중 검기무에 사용된 춤동 작은 무작(舞作), 상대무진 (相對舞進), 상대무퇴(相對舞退), 환립(換笠), 혹배혹 면이무(或背或面而舞), 상대궤무(相對跪舞), 농검(弄劍), 집검(執劍), 번표이농수 검무(翻飄而弄袖劍舞), 기립(起立), 무작(舞作), 각용재(各用才), 연귀소(鷰歸 巢), 연풍대(筵風擡), 무진(舞進), 무퇴(舞退) 등으로 다채롭게 나타나고 첨수무와 공막무는 동일한 춤사위로 구성되어 있고 검기무에 나타나지 않는 회선이무(回旋而 舞)의 춤동작이 나타나며 환립(換笠), 각용재(各用才) 등의 춤동작은 나타나지 않는 다.
더보기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aspects of performing each style of geommu(sword dance) performed at cour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nfluenced on taking shape of regional geommu performed at gyobang(office for training the entertaining women) in each province, around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Jeongjaemudoholgi(record for court dance) and several uigwes(record for royal banquet).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revealed in the above documents are named as geomgimu(geommu), cheomsumu and gongmakmu, and the summery of the investigation on them is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record of uigwe, the origin of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is cited from an old story of the banquet at Hongmen in the late period of the Qin dynasty of China. And the cheomsumu, popularly called yeopmu, was renamed as it i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jong,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geomgimu was performed by yeoggi(entertaining women), the cheomsumu, by yeoggi and mudong(boy dancer), and the gongmakmu, by mudong, with two pieces of sword prop per person. They were also performed without changsa(a kind of narration or a song sung in Chinese before the dance),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kinds of court dance. Secondly, among the styles of geommu at court investigated through the uigwe's formal regulation on the costume of court geommu and its graphic records on the formation and the costume of court dance, both costumes of the geomgimu(geommu) and the gongmakmu carried the style of jeonbok(a kind of outer tunic) and also that of the cheomsumu, narrow-sleeved upper garment, banbiui(a kind of jeonbok) and jeondae(wide belt). Thirdly, from the regulation of uigwe and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each geommu performed at court was danced by double numbered dancers such as two, four, and eight dancers according to the styles. And it is also found that they danced carrying two sword props, that is, one in each hand. Fourthly, the accompanying music to each style of court geommu found in the record of Jeongjaemudoholgi is as follows: the geomgimu and the gongmakmu were accompanied by muryeongjigok(sonorous music used for military exercises or the king's procession) and the cheomsumu, by mancheonchunjigok(a kind of hyangdanggyoju). And all of them were played in the way of hyangdanggyoju(playing Korean and Chinese musical instruments by turns). Fifthly, when it comes to the progression of dance revealed in the record of Jeonjaemudoholgi, the geomgimu began after musicians put the sword props on the dancing area and retreated to the right and left. On the other hand, the props of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were put in the middle of dance by musicians. Sixthly, among styles of geommu at court appeared in the record of Jeongaemudoholgi, the geomgimu has various dance movements named as follows: mujak; sangdaemujin; sangdaemutoe; whanlip; hokbaehokmyeonimu; sandaegwemu; nonggeom; jipgeom; beonpyoinongsugeommu; girip; mujak; gakyongjae; yeonguiso; yeonpungdae; mujin; mutoe etc. The cheomsumu and the gongmakmu have the same dance vocabularies and additional one such as hoeseonimu which is not appeared in the geomgimu. And the two excluded some vocabularies such as whanlip and gakyongjae etc.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3-01-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우리춤연구 -> 우리춤과 과학기술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양우리춤연구소 -> 우리춤연구소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HanYang Univ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 | 0.5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