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胡瑗의 『周易口義』가 伊川 『易傳』에 준 영향 = The Influences of HuYuan’s ZhouYiKouYi upon YiChuan’s YiZhu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81-222(42쪽)
제공처
In the early Song Dynasty following five kings of the end of Ting Dynasty the development of society・economy triggered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ought and the prosperity of culture, and the government promoted social 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through the civil-minister centralism. But owing to the prosperity of Buddhism and Taoism Confucianism didn’t construct still its foundation, and many government officials who accomplish the institutional reform were not fostered at schools, depending only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Notwithstanding this environment,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early Song Dynasty newly launched SongXue(宋學). In the SongXue as Learning of Righteousness & Principle, ZhouYi(周易) where humanistic reason is well expressed together with the Four Books was respected. In the position of YiLiXue(learning of righteousness, 義理學) which emphasized the human relations the scholar who set up ‘Yi’ newly is HuYuan(胡瑗). HuYuan established his own theory about ‘Yi’. He also enhanced the spirit of the scriptures and compiled his explanations, which is ZhouYiKouYi(周易口義). Out of more than 1,700 disciples who received Huyuan’s direct and indirect teachings, the representative disciple who explained ‘Yi’ based on righteousness and succeeded to the teacher's doctrine is the very ‘ChengYi(程頤)’. Unlike the thought of HuYuan who based the righteousness in the center of ‘Yi’, ChengYi introduced a new idea ‘arrangement(理)’ and develope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Yi’ and provided the behavioral norm and existence principle for the order and expanded it to many nobilities later. Based on ‘Yi’ idea shown in HuYuan’s ZhouYiKouYi, ChengYi wrote YiChuan(易傳), and developed the learning succeedingly and completed neo-Confucianism(程朱學).
더보기이 글은 胡瑗과 程頤의 학통 계승 내용을 밝힌 것이다. 송유들은 사회를 안정시키고 上下・尊卑 질서를 확립하고자 이전 六經 중심의 훈고를 비판하며 佛・道의 사상을 받아들여 새로운 유학인 송학을 태동시켰다. 송학에서 가장 중시한 것은 義理이다. 義理之學으로서의 송학에서는 四書와 함께 ‘易’이 새롭게 존숭받기 시작하였다. 의리지학의 입장에서 ‘易’을 새롭게 정립한 자가 胡瑗이다. 호원은 易’ 사상을 기반으로 엄격한 학규를 세워 실천하며 제자를 육성하여 기강을 수립하고 혼란한 사회를 바로 잡으려 하였다. 호원의 의리로서의 ‘易’ 사상은 經書를 존숭하는 마음을 유지시키면서도 가르침과 다스림을 강조한 『周易口義』에 잘 나타나 있다. 호원의 직・간접적 가르침을 받은 제자 가운데 의리를 근본으로 ‘易’을 설명하며 스승의 학설을 계승한 대표적 제자가 바로 程頤이다. 程頤는 胡瑗의 ‘易’ 사상을 토대로 송학을 발전시켜 정주학으로 완성하였다. 송학과 정주학 형성의 근거가 된 호원의 『周易口義』와 程頤의 『易傳』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영향을 준 내용을 확인해 보았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