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영성신학의 새로운 지평; 노동과 기독교 영성 -기독교 영성의 영역확대를 위한 연구 = Work and Christian Spirituality: A Study for the widening of Christian Spirituality`s A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2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3-118(36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researches on Christian spirituality that have been continued since the middle of 20th century achieved the accurate formulation regarding spirituality`s unique features and types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various literatures and the rediscovery of many figures. This achievement helps spirituality come back to the foundational role of Christian theology beyond its previous limitation overwhelmed by scientific rationalism and reason-centered tradition. Spirituality that accomplished the functional reorientation as the ground of theology could be incorporated to various themes in relation to the church and became an object of expectation as one of the strongest alternative plans for the future church. Even though there are still lots of confusions about spirituality due to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many Christians strive to produce detailed conceptual improvement, dynamic practical strategies, and training process based on the ground, contents, ultimate goal, and ideal direc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However, the studies of spirituality that have been primarily performed by the scholars revealed a problem of limiting the research object only in religious orders, priests and theologians who had special awareness of calling. Although such methodology contributed to discover the core values for the formulation of Christian spirituality, it excluded the majority of Christians out of research target due to its feature of concentrating on small privileged group. Th research method without any interrelation to the lives of the ordinary Christians limited the horizon of spirituality studies in the realm of abstract and expert languages and concepts which caused the lack of the possibility for spirituality`s application in everyone`s daily life. Furthermore, within the rapidly changing contex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only by scholars whose experiences are not wide enough produces a malfunction that spirituality becomes an exclusive medium for self-protection of scholars and that pseudo-spirituality or heresy is quickly spreading over the ordinary Christians. This study is to begin from the intention of changing the above limitation by attempting to underscore the lives of Christians. This has dual meanings that the studies of foundation and conceptual summarization on spirituality so far should be moved onto concrete activities and that the practice of spirituality cannot be limited in a specialized group`s training methodology. To get to such goals, this study will use the organic methodology interconnecting spirituality with the ‘labor’ or ‘work’ as the medium. In other words, by analyzing both the aspect of spirituality and diverse perspectives based on Christian theology regarding human work itself, the fact that there is no barrier for all Christians in embracing of spirituality into their own lives beyond the boundary of the scholars` group will be uncovered. And through the investigation about sociological meanings with job selection and salary structure, the function of social critique by spirituality will be described for the necessary enlargement of spirituality`s research area in the contemporary society. Spirituality is the topic which regained the people`s attention to establish integral intention for the mutuality between the church and society as whole and to renew a understanding of theology as an inactive academic subject. This study will be performed under the objective that the expectation on the spirituality will be connected to practical alternatives, thus, it will be stimulating for the improvement of other theological work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5-05-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2009-06-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