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최성연의 인천 시조(時調)에 대하여 = A study on Choi Sung-Yeon’s Incheon Shijo(時調)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52(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 examined Choi Sung-Yeon’s Incheon-related Sijo(時調).
The poet was born in Incheon and spent his childhood. He has been active in his hometown since the Korean War. He established a film company(Chung Goo Culture Photographer) in his hometown, and worked as a commissioner for city hall, a companion member of Incheon history, and editor of a local newspaper. He asked his juniors in his hometown of Incheon to have a special affection for local history. It was related to the fact that he built Sijo related to the area.
It was possible to divide the propensity of the work into four parts and to examine the progeny. The “suffocation(<질식>)”, which corresponds to ‘a group of works linked to human life and death,’ was based on memories of watering in childhood. There are “hate(<증오>)” and “Incheon gak(<인천각>)” as the sijo that corresponds to ‘the wastes that are now left to be forgotten but still mixed in the heart’. The former was about Evacuation ship and witnessing, and the latter was abou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destroying a certain building that was a landmark of Incheon. There were “recall<회고>”, “Wild chrysanthemum<들국화1·2>” and “singing of Jemulpo opening port<제물포 개항의 노래>” as ‘lyrical and some works pursuing beauty’. The previous one was a sijo who recited the old and decadent literary acidity. In particular, the author used an investigation called “Korea’s first railway” and “Korea’s first waterway” and recognized it as a positive modern culture for railway and waterworks facilities. The “Seagulls have disappeared<갈매기도 사라졌는데>”, which corresponds to ‘the works of the family with socia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was a work that accuses the pollution around the port. Of course, the seagull, who could not leave, was also his own figure.
The symbolic system that often appears in the evaluation of his works should be discussed in the future.
최성연의 인천 관련 시조를 살펴보았다. 작자는 인천에서 태어나 유년기와 소년기를 보냈고 한국전쟁 이후 줄곧 고향에서 활동하였다. 고향에서 영화사(청구문화사진사)를 설립, 시청 촉탁기자, 인천시사의 편찬위원, 지역 신문사의 편집국장 등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고향 인천의 후배들에게 지역사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갖도록 부탁하거나 지역과 관련된 시조를 지은 것도 이와 관련이 있었다.
작품의 성향을 네 가지로 나누어 시조들을 검토할 수 있었다. 먼저 ‘인간의 삶과 죽음에 얽힌 작품군’에 해당하는 <질식>은 유년기에 물장난을 했던 기억을 소재로 삼은 것이었다. ‘이젠 잊혀졌어도 마땅할 것들이 아직도 마음 한구석에 곱이 낀 채 남아 있는 흉물들’에 해당하는 시조로 <증오>와 <인천각>이 있었다. 전자는 피난선에서 벌어졌던 일에 대한 것이고, 후자는 인천의 랜드마크였던 특정 건물이 설립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읊은 작품이었다. ‘서정적이고 더러는 미를 추구하는 작품’으로 <회고>, <들국화 1·2>, <제물포 개항의 노래>가 있었다. <회고>와 <들국화 1·2>는 낡고 허물어져 가는 문학산성의 모습을 읊은 시조였다. <제물포 개항의 노래>는 인천 개항장의 변화상을 연시조의 형태에 담은 시조이다. 특히 작자는 “한국최초의 철도”와 “한국최초의 상수도”라는 수사를 동원하며 철도와 수도시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근대문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적 참여의식이 깃든 계열의 작품군’에 해당하는 <갈매기도 사라졌는데>는 항구 주변의 오염을 고발하고 있는 작품이었다. 물론 그곳을 떠나지 못하고 있는 갈매기는 작자 자신의 모습이기도 했다.
그의 시조에 대한 평가에서 자주 등장하는 상징체계는 향후 논의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3 | 1.059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