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 후 통증조절 방법간의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Postoperative Pain Control Methods in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after Posterior Spinal Decompress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2-127(6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Study Design: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early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s and the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associated with 3 methods of pain control after posterior spinal decompression.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al surgery causes severe postoperative pain. Efficient and safe methods for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spinal surgery are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clinical symptoms and to assess improvements in postoperative pain, 52 patients in whom single-level posterior lumbar decompression was planned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18 patients received a preoperative single-shot epidural injection (SEI), 16 patients received a postoperative continuous epidural injection (CEI), and 18 patients received only postoperative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Patient ratings of pain intensity (visual analog scale score from 0 [no pain] to 10 [most severe pain]), nausea (from 0 [no nausea] to 5 [severe nausea]), and vomiting (from 0 [no vomiting] to 5 [severe vomiting]) were recorded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and at 4 hours, 12 hours, 1 day, and 2 days postoperatively.
Results: The CEI group showed significantly enhanced analgesic effects, followed by the SEI group and the IV PCA group (p<0.05). PONV due to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more severe in the IV PCA group than in the other 2 groups (p<0.05).
Conclusions: Continuous epidural injection (CEI) is effective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nd minimizes the occurrence of PONV after posterior spinal decompression.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요추부 협착증으로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게 경막외강 내 및 정맥 내 경로를 통한 3가지 통증조절방법을 적용한 뒤각 방법간의 통증조절효과 및 구역감, 구토감(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척추 수술은 수술 후 심한 통증을 유발하므로 통증관리를 위한 효율적이고 안전한 통증조절방법은 필수적이다.
대상 및 방법: 술 후 임상증상 및 통증의 호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분절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 받은 52명의 환자를 무작위로 총 3군으로 나누어 18명에게 전신 마취 후 수술 시작 직전 경막외강 내 일회 약물 투여, 16명에게 술 후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장치를 적용, 18명에게 술 후 정맥내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적용하였다. 수술 직후, 4시간 후, 12시간 후, 1일 후, 2일 후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 정도를 시각통증등급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통증조절약물 투여 후 환자가 호소하는 구역감, 구토감의 횟수와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통증조절효과의 비교에서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CEI) 군이 유의하게 좋았고, 일회성 경막외강 내 약물 투여(SEI) 군과 정맥 내 통증자가조절장치(IV-PCA) 군이 뒤를 이었다(p<0.05). 술 후 통증조절에 따른 PONV는 PCA 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발생빈도가 높았다(p<0.05).
결론: 지속성 경막외강 내 약물투여(CEI)는 후방 척추 감압술 후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며 PONV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약칭 제목: 후방 척추 감압술을 시행한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 후 통증조절 방법간의 효과 비교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3 | 0.03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6 | 0.05 | 0.22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