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시품격론(詩品格論)으로서의 정종(正宗)ㆍ대가론(大家論) = A study on Grades of Poems in Chinese Poem Criticism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95-322(28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시품격론이라 할 정종ㆍ대가론의 소원(溯源)과 수용 과정, 그리고 그 우열론이라는 다소 낯설고 난삽한 몇몇 과제를 재점검함으로써 17세기 중ㆍ후반의 다양한 우리 시학사 정리는 물론, 이후 성당 시학의 실천에 이어, 실학ㆍ평민문학으로의 발전 과정 및 천기론으로 무장하므로 자못 『시경』시에 비견한 진시(眞詩), 곧 여항문학으로 발전해 가는 시학사의 계경을 이해함에 일조하고자 한다.
먼저 정종ㆍ대가론의 시원이 고병의 『당시품휘』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남송을 대표하는 시론가 ‘엄우의 『창량시화』에서 유래되었다’ 하고, 『창랑시화』와 『당시품휘』를 통해 강서시파에 대한 의고문풍의 필요성과 수용과정을 논증했다. 특히 엄우의 ‘선으로 시를 논以禪喩詩論’하며 ‘묘오(妙悟)와 ‘입신론(入神論)’이 고병의 『당시품휘』에서 이백의 정종론으로, 한위(漢魏)의 법도와 육조(六朝)의 재주를 집대성한 두보의 대가론으로 정착되었음을 논증했다.
이어 정종ㆍ대가 우열론에서 「이ㆍ두우열론」은 엄우 및 왕정지가 불가라 했으나, 엄우는 암묵적으로 이백을 좌단(左袒)한 정황이 있음을 밝혔으나, 워낙 문풍과 기호에 따르는 바 제가의 각설을 주로 요약했다. 우리 한 시비평의 경우 정종ㆍ대가론의 전개 과정을 약술하고, 김득신의 「평호소지석시론」으로 총론하되, 관각삼걸의 몇 작품과 삼당의 몇 작품을 예시하여 그 ‘웅혼(雄渾)한 미감’과 철저한 용사성 및 위미 염려성(萎靡 艶麗性)이 석주 권필 시의 ‘전고ㆍ용사의 작흔(作痕)은 물론, 시어의 조탁도, 인위적 과장도 없는 진실한 사실적 비유가 현장성을 배가하므로 정종의 시격임’을 논증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석주야말로 관각삼걸의 강서시파적 특질은 물론, 삼당의 위미ㆍ염려로부터 17세기 조선사를 성당시풍에로 가장 근사하게 접근시킨 정종으로, 이후 18세기로부터 팽배하는 무실적 사실문학, 나아가 천기를 근간으로 한 중인문학의 계경(階徑)을 제시했다고 결론했다.
This paper compares the two different grades of Chinese Poem, Jeong-jong(定宗) and Dae-ga(大家). This comparison is based on Uem-woo(嚴羽)'s Changrang's poetic argumnt(滄浪詩話). Uem-woo thought that poems in Song-Dynast(宋代) are not pure because they are too logical and full of misappropriating. He insisted to learn poems of Dang age, which are warmhearted and natural. And emphasizing the likeliness of the Zen and Poems, he pointed that the ultimate aim of both is spiritual awakening(妙悟). He appraised Li-bac & Tu-bo(李白ㆍ杜甫) as highest poets who succeeded in the world through the spiritual awakening
In Mwung age(明) Ko-Beoung(高棅) categorized 620 poets' 5,769 poems in Dang age into 9 grades in his book, The Comment on a poems of Dang(唐詩品彙). Li-bac was the only best poet named as Jeong-jong(定宗) and Tu-bo was the second, and named as Dae-ga(大家).
Kim Deuk-sin(金得臣) tried this kind of distinction among Korean traditional poets, and Jeung(鄭士龍) No(盧守愼) Hoang (黃廷彧) were named as Dae-ga(大家), Kyun(權韠) was Jeong-jong(正宗). The characteristic of Jeong-jong's(正宗) poem is the poetic inspiration with simple and unartificial dictions, and Dae-ga's(大家) poem shows a vigorous style using authentic precedents(典故).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