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길찾기 과정에서 랜드마크의 시각적·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of Landmarks in Wayfinding Behaviou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9-92(1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ements of landmark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wayfinding ar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and in order to design efficient wayfinding method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visual / psychological properties of landm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landmarks in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and computer simulation, and to reveal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perties and wayfinding behavior to present the conditions of landmarks for effective wayfinding. (Method) In this study, we set the scope of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visibility and the identity of the landmarks, which is a descriptive variable of the research topic. This explains how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landmarks affect the identity and visibility of the landmarks. For the hypothesis test, four experiments were made by advancing-color(a), receding-color(r), familiarity(f), and unfamiliarity(u), and subjec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 The subjects read the instructions of the assigned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fter wearing the eye-tracker, they performed the task of selecting the objects specified in the computer simulation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ssigned. During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properly selected and the time of object selection was record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landmarks, and the subject's pupil movement was recorded for the visibility analysis of the landmark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ge and sex of the subjec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ponse variables of the study. Second,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landmar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curacy of the landmarks selection. Third, the visual factor of the landmarks shows a slight difference in the promptness of the landmarks selection,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landmarks's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ed of landmarks selection and statistically tested. Fifth, in the experiment on visibility, it was found that both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visual / psychologic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ibility of the landmark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landmark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direction of the landmarks design that the landmarks should be designed using the familiar objects and the colo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 landmarks for effective wayfinding and secondly, to provide the researchers studying design various analysis methods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m to design. Experimental errors caused by limitations of experimental control in this study were derived as research problems through discussion. These research problem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of future research.
더보기(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길찾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의 속성은 가시성과 식별성이고, 효율적인 길찾기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 심리적 속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선추적 기술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측정하고 그러한 속성들과 길찾기 행위와의 복합적 관계를 밝혀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의 조건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의 설명변수인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를 정한다. 이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속성과 심리적 속성이 어떻게 랜드마크의 길찾기 역할인 식별성과 가시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시선추적 실험이 준비되었다. 가설검정을 위해 진출색(a), 후퇴색(r), 익숙함(f), 익숙치 않음(u)을 조합하여 4가지의 실험을 만들고 피험자를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배정된 실험조건의 지시문을 읽고 시선추적기를 착용한 후에 배정된 실험조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지정된 물체를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피험자가 제대로 물체를 선택하였는가와 물체 선택 시간이 랜드마크의 식별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고, 피험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이 랜드마크의 가시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의 나이, 성별 등은 연구의 반응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심리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정확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넷째, 랜드마크의 심리적 요인은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다섯째, 가시성에 대한 실험에서는 물체의 위치 및 시각적/심리적 요인 모두 랜드마크의 가시성(선주시)에 유의미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물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과 주변환경과 차별되는 진출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랜드마크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 설계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과 두 번째로, 디자인을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디자인 대상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소개하고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통제의 한계로 발생된 실험오류들이 논의를 통해 연구문제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연구문제들은 차후 연구의 실험설계에서 학문적으로 전개되어 반영되어야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6-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itute of the spatial design ->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5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2 | 0.692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