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북위 불교미술에 보이는 북방적 요소 고찰 = A Study on Northern Elements in Northern Wei Buddhist Ar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3-236(2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그동안 학계에서는 북방 유목민이었던 선비족이 중국을 통치하기 위해 선비족의 생활방식을 버리고 한족의 정신, 문화, 제도 등 전반적으로 동화되었다고 보는 입장이 우세하였다. 그런 가운데북위의 불교미술도 북방 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버리고 한족에 동화되어 ‘중국화’를 이루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북위의 불교미술 안에 북방 유목민적 요소가 여전히 남아있다는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남조의 불교미술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북위 불교미술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북방 유목민이었던 선비족 본연의 문화와 민족성에바탕을 둔 소위 ‘북방적 요소’에 대해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첫째, 북위는 효문제(孝文帝)가 단행한 한화(漢化)정책과 낙양천도를 통해 급속히 중국화가진행되기는 했지만, 운강석굴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총 7구의 대규모의 불상을 제작함으로써 북방 유목민을 이끈 리더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자 했다. 더구나 이러한 불상에 황제의 이미지를투영해서 황제숭배 사상에 부합하는 이미지를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둘째, 지역적으로 중앙아시아에서 널리 유행한 교각자세의 미륵보살상을 다수 제작함으로써 유목민의 왕의 형상과도 일치하는 도상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세가 탁발족만이 가진 고유한풍습에서 비롯된 것인가 하는 점에 관해서는 명확히 구분하기 어렵지만 한화를 추진한 이후에는교각보살상이 급감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북방적 요소로 볼 수 있다.
셋째, 북방 민족의 특성으로 언급할 수 있는 모계 숭배 사상이 태화(太和, 477-499)나 효창(孝昌, 525-528)년간에 기록으로 확인된다. 이는 한족의 부계사회와는 달리 모계의 권력이 강했던 북방 유목민으로서의 선비족의 풍습이 당시의 불교미술의 제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북위 왕조에서 선비족 본연의 북방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은 적어도 본격적인 한화정책이전까지는 강하게 남아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북방민족으로서의 습성을 기반으로 어디까지나한문화를 취사선택해서 두 문화가 융합을 이룬 시기로도 볼 수 있다.
In the academic world, the prevailing view has been that the Tuoba Xianbei nation(拓跋鮮卑族), who were nomads in the north, abandoned their way of life and assimilated the Han spirit, culture, and system as a whole in order to rule China. In addition, the Buddhist art of Northern Wei is seen as being a part of a process that abandons the identity of a northern nation and assimilates into the Han Chinese to achieve “siniciza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northern nomadic elements still remain in the Buddhist art of Northern Wei. This characteristic can be said to be a unique characteristic of Northern Wei Buddhist art, which is hard to find in the Buddhist art of the Southern Dynasti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ocalled 'northern element' of the original culture and ethnicity of the nomadic northern Xianbei n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ree perspectives.
F i rst , a l t h o u g h C h i n e s e i z at i o n ra p i d l y p ro g re s s e d t h ro u g h p o l i cy of t h e sinicization(Hanwha policy), and the capital was moved to Luoyang (Luoyangcheondo) under the rule of Emperor Xiaowen(孝文帝), the Northern Wei tried to concretely embody the leader of the northern nomads by producing a total of 7 large-scale Buddha statues in the Yungang Grottoes. Moreover, by projecting the image of the emperor on these Buddha images, they were able to to create an image consistent with the idea o f worshiping the emperor.
Second, by producing Maitreya Bodhisattva statues with the “crossed ankles” posture, which were popular in Central Asia, an icon that matched the shape of a nomadic king became popular.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learly distinguish if this attitude originated from customs unique to the almsgiving tribe, it can be seen as a northern factor because the number of Bodhisattva statues with crossed ankles posture decreased sharply after the promotion of Hanwha.
Third, the idea of matrilineal worship,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 characteristic of the northern nation, was found in the records during the years of Taihe(太和, 477- 499) and Xiaochang(孝昌, 525-528).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customs of the nomadic Xianbei nation in the north, where the power of the maternal line was strong unlike the paternal society of the Han Chinese, which directly influenced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at the time.
As such, it is presumed that the identity of the Xianbei tribe as a northern nation in the Northern Wei Dynasty remained strong at least until the implementation of a full-fledged Hanwha policy. It can also be seen as a period when the two cultures were fused by choosing to selectively assimilate into the Han Chinese culture while retaining their habits as a northern n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