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기 정약용 삼대토지제도론의 추이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7-268(42쪽)
제공처
사환기의 다산은 전업에 기초한 ‘농자득전’을 삼대 토지제도의 이상적 원리로 제시했다. 하지만 『맹자집주』의 고법 이해를 따랐던 까닭에, ‘농자득전’의 고법을 삼대 전역에서 해명하지는 못했다.
유배기의 다산은 여러 경전을 탐구하고 통섭하는 가운데, 몇 번의 단계를 거쳐 ‘농자득전’의 고법적 양상을 삼대 전역에서 논증해갔다. 먼저 정지가 시행된 時空을 삼대 전역으로 확대했고[삼대정지론], 이어 모든 정지에 공전이 설치되었다고 보았으며[일원적 삼대공전론], 마지막으로는 10구법과 정지를 구분하여 양자가 각기 권역을 달리해 기내에서 시행되었다고 보았다.[이원적 삼대공전론] 이같은 과정 속에서 다산은 3경과 『주례』를 중심으로 4서를 통섭 및 재해석했다. 그리고 공전을 삼대의 보편적이고도 핵심적인 제도로 간주했다.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e course of understanding about the Three Periods"s land system. In Jeonron(〈田論〉, 1798)”, he proposed Land-to-the-Tiller Principle(農者得田) as the ideology of the Three Periods"s land system under nine consecutive jobs. However, he could not explain the principle under Old Law(古法) because his method of understanding old law was based on the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孟子集註』), which regarded Nine-square Field(井田) as a partial land system of Three Periods.
Dasan explored the Three Periods ruling system and its Old Law(古法) during his exile period(1800-1818), and constan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viewpoint of the period of official career.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was the Samdae Jungjiron(三代井地論), which regarded the Nine-square Field(井田) as a section of the whole area of the Three Periods Land by breaking away from the way of understanding Nine-square Field(井田) of Collected Commentaries on the Book of Mencius(『孟子集註』). However, he maintained the Classical style of Mencius(『孟子』), which matched Gongjeon(公田) with Jobeob(助法).
The second stage was a One-way Samdaegingjeonron(一元的三代公田論) which considered Gongjeon(公田) was installed inwhole agricultural land of Three Periods. This opinion couldbe made by breaking away from the Classical style ofMencius(『孟子』), which matched Gongjeon(公田) with Jobeob(助法). As a result, the ideology of Bunjeon(分田) and Jerock(制祿) could be specifically proved through the Old Law(古法) of Gongjeon(公田).
The third stage was Two-way Samdaegingjeonron(二元的 三代公田論), which means that although Gongjeon(公田) was installed around the whole agricultural area of Three Periods, the division method was different from the Ten-square Field(10溝法) and the Nine-square Field(井田). In particular, Dasan studied Zhou-li(『周禮』) in earnest under the Two-ways Samdaegingjeonron(二元的 三代公田論), and through this he regarded Gongjeon(公田) as the key law of the ruling system including the land syste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