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대학병원에서 6년간 항생제 사용량과 항생제 내성균주 발생율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The Correlation between Antimicrobial Use Density and Rate of Bacterial Resist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over a Six-year Period.
저자
박기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김동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유철웅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김우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정희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김민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박승철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내과) ; 이도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임상병리과) ; 이창규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임상병리과) ; 김영미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약제과) ; 최형옥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약제과) ; 최선주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관리실)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51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77-188(12쪽)
제공처
목적 :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균주 증가의 중요한 원인으로 적절한 항생제 사용관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향후 항생제 사용관리 전략 수립의 기본자료를 얻고자 antimicrobial use density(AUD)를 이용한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세균의 발생율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일개 대학병원에서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년간의 정주용 항생제의 계열별 defined daily dose(DDD)와 연간 환자-일수를 구하여 DDD/1,000 patient days로 정의된 AUD를 구하였다. 그리고 1991년부터 1997년까지 7년간 분리된 균주 중 그람음성균으로 3세대 cephalosporin(cefotaxime)에 내성을 보이는 E. cloacae, K. pneumoniae 및 P. aeruginosa의 발생율을 조사하였고 그람 양성균으로는 methicillin 내성 S. aureus의 발생율을 조사하여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군 발생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3세대 cephalosporin 사용량과 3세대 cephalosporin(cefotaxime) 내성 E. cloacae, K. pneumoniae, P. aeruginosa의 발생율의 상관계수는 0.5, -0.24, -0.31이었고,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군과 1세대 cephalosporin의 사용량과 MRSA 발생율은 음의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r=-7.51, p=0.085). Quinolone 계열의 사용량과 3세대 cephalosporin 내성 P. aeruginosa 발생율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r=0.75, p=0.08), anti-pseudomonal penicillin군의 사용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1, p=0.01). Glycopeptide 계열의 사용량과 MRSA 발생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988, p=0.00).
결론 : 본 연구에서는 3세대 cephalosporin 항생제의 사용량과 내성균 발생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밝힐 수는 없었지만, MRSA 발생율과 glycopeptide의 사용량, cefotaxime-내성 P. aeruginosa 발샹율과 anti-pseudomonal penicillin, quinolone 사용량의 상관관계에서 양의 관계를 보여 AUD를 이용한 항생제 관리가 병원 감염관리의 기본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고 향후 중환자실과 일반병실 사이같은 좀더 국소적인 임상 상황에서 항생제의 사용량과 내성 세균의 발생율의 관련성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Because the main factor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bacterial resistance is injudicious use of antibiotics,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use of antibiotics.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antimicrobial use density(AUD) and rates of bacterial resistance, which data will be useful to make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antimicrobial use in the hospital.
Methods : From 1992 to 1997, we determined parenteral antimicrobial use in terms of defined daily doses (DDD) and AUD(DDD/1.000 patient days), and surveyed the isolation rates of 3rd generation cephalosporin(cefotaxime)-resistant Enterobacter cloacae,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ASA), and analysed the correlation between AUD and resistance rates of bacteria.
Result : The correlation coefficents(r) between AUD of 3rd cephalosporins and rates of 3rd cephalosporin-resistant E. cloacae. K. pneumoniae, and P. aeruginosa were 0.5. -0.24, and -0.31, respectively and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rrelation of AUD between anti-staphylococcal penicillins and 1st generation cephalosporins and rates of MRSA showed negative (r=-7.51, p= 0.085). The correlations between rates of 3rd generation cephalosporin-resistant P. aeruginosa and AUD of quinolones, anti-pseudomonal penicillins showed positive (r= 0.75, p=0.08: r=0.91, p=0.01,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rates of MRSA and AUD of glycopeptides also showed positive significantly(r=0.988, p=0.00).
Conclusion : We could not reveal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antimicrobial use and rates of bacterial resistance among major nosocomial pathogens, but MRSA vs. glycopeptides, 3rd generation cephalosporin-resistant P. aeruginosa vs. quinolones and 3rd cephalosporin-resistant P. aeruginosa vs. anti-pseudomonal penicilli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rectly suggest that AUD may be used as an index for amount of antimicrobial use in a hospital. We suggest that further prospective analysi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ntimicribial use and bacterial resistance in more limited clinical setting, such as intensive care unit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