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천지창조설에 관한 다섯 개의 이야기 = Five Stories about Tasan Jeong Yak-yong’s View on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저자
방인 (경북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74(68쪽)
제공처
소장기관
국문요약정약용의 철학은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천주실의』의 영향을강하게 받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천주실의』에서 전개된 기독교의 창조설이 정약용의 우주론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해서는 회의적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창조의 개념에 상응하는 단어는조화造化인데, 이 용어는 전통적 성리학의 맥락에서는 만물을 생성하고 소멸하게 하는 대자연의 이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쓰여졌다. 학계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용어가 정약용에게서도 성리학적 맥락을 벗어나서 사용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필자는 2019년에 발표한 논문, 「정약용의 『주역』 해석에 보이는 우주발생론적 관념과 마테오 리치의 영향 ―창조론과 생성론의 절충」(『다산학』 제35호,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정약용이 『역학서언易學緖言』의 「육덕명석문초陸德明釋 文鈔」에서 ‘천지창조天地創造’라는 용어를 사용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가 2019년에 제출한 논지를 보다 정밀하게 다듬고, 구체적인 논거論據를 보완하였다. 필자는 정약용의 저서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천지창조설에 관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이 자료들을(A)·(B)·(C)·(D)·(E)의 다섯 가지로 시대별로 열거하고, 정약용이 창조개념이 최초로 형성된 계기와 그 이후로 성숙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정약용이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 에 나오는 창조론에 의하여 강한 영향을 받았지만, 『주역』의 「계사전」 에 바탕을 둔 천지만물의 생성이론을 부정하지도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따라서 정약용의 견해는 창조론과 생성론의 절충이라고 볼 수있다.
더보기It is already well known that Jeong Yak-yong’s philosophy was strongly influenced by Matteo Ricci’s Cheonju Silui(『天主實義』, c.
Tianzhushiyi,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However, skepticism prevails as to whether the idea of creationism as developed by Ricci influenced Tasan’s cosmology. Ricci used many words such as johwa(造化, c.zaohua) or hwasaeng(化生, c.huasheng) in order to convey the concept of creation. Tasan also used the word, ‘johwa’. However, ‘johwa’, in the context of Zhu Xi(朱熹)’s school of nature and principle(性理學), refers to the law of nature that create and destroy all things. Most scholars have argued that Tasan did not use the term outside of this context. However, in my 2019 paper, “Jeong Yak-yong’s cosmogonic idea and Matteo Ricci’s influence shown in his interpretation of the Zhouyi”(Journal of Tasan Studies, No. 35), I noted that Tasan used the term “cheonjichangjo(天地創 造, c.tiandichuangzao) in Yukdeongmyeong Seongmuncho(『陸 德明釋文鈔』), i.e., Extracts from Yuk Deongmyeong(陸德明, c. LuDeming)’s Gyeongjeon seongmun(『經典釋文』, c. Jingdian shiwen: Textual explanations of classics and canons). In this paper, I refined the thesis I submitted in 2019 and added some specific arguments. I collected data on creationism scattered throughout Tasan’s writings, grouped them into five periods (A, B, C, D, and E), and analyzed how Tasan first formed his concept of creation and matured over time.
Through this analysis,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asan was strongly influenced by Ricci’s idea of creation, but, at the same time, did not reject the evolutionary idea based on the Xicizhuan(『繫辭傳』, Commentary on the Appended Phrases) of the Zhouyi. Accordingly, Tasan’s views can be seen as a compromise between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