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료방송시장 경쟁규제의 주요 쟁점 및 개선방안 = Analyzing Competition Regulation on the Pay TV Markets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196(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paper analyzes competition regulation on the pay TV market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ives, costs & benefits, adequacy, and efficiency of the specific regulation. The main issues include (i)entry regulation (renewed licenses and conditions), (ii)price regulation, (iii)market share regulation, (iv)market competition review (collective dominance evaluation), and (v)prohibited acts regulation. The improvement schemes are derived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the status quo.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witch from ex ante regulation to ex post regulation, reflecting the change of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pay TV markets. Secon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law,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or minimize the difference that occurs in the content of the renewal determination criteria between the Broadcasting Act and the IPTV Act, and to improve the practice of imposing conditions upon renewed licenses. Third, the price regulation should be applied only to the SMP(Significant Market Power) holder, based on the result of market competition review. Fourth, it is desirable to abolish or deregulate the market share regulation, since its regulation costs possibly exceed its potential benefits. Fifth, developing the relevant evaluation criteria for collective dominance in the broadcasting markets is essential to tackle the possibility of regulatory vacuum. Finally, it is necessary to materialize the existing types of prohibited acts or introduce new types of prohibited acts by reflecting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specific to the broadcasting market, and to establish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fair competition among operators.
더보기OTT 서비스를 비롯한 온라인・인터넷 미디어의 약진, 글로벌 미디어 사업자의 국내 진출과 영향력 확대, 대규모 기업결합의 진행 등으로 유료방송 생태계가 근본적으로 재편되는 가운데, 규제의 근간인 법체계의 대응 속도가 급변하는 시장의 환경 변화를 따라가지 못함에 따라 시장과 규제의 비정합성, 규제의 비일관성과 비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료방송시장의 경쟁규제 관련 항목들로서 (i)진입규제(재허가와 부관), (ii)요금규제, (iii)시장점유율 규제, (iv)경쟁상황평가 제도(결합지배력 평가), (v)금지행위 규제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고, 규제의 필요성, 규제의 비용과 편익, 규제 내용의 적정성과 실효성의 관점에서 현행 규제 조항과 관행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료방송시장의 대내외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사전(ex ante)규제를 사후(ex post) 규제로 전환하고, 경로의존성에서 탈피하여 합리적인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둘째, 법 개정을 통해 방송법과 IPTV법 사이의 재허가 심사기준의 내용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없애거나 최소화하고, 재허가 시 조건 부과의 실무 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요금규제를 경쟁상황평가와 연계시키고, 평가 결과 시장지배력을 보유한 것으로 밝혀진 유료방송 사업자에 한정하여 요금 승인제를 유지하되, 여타 사업자에 대해서는 신고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계적인 시장점유율 상한을 적용하고 있는 시장점유율 규제는 규제비용이 편익을 초과하는 과도한 규제로서,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방송산업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결합지배력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현행 경쟁상황평가 방법론을 보완하고 규제 공백의 가능성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방송시장 특유의 경쟁관계를 반영하여 기존 금지행위 유형을 구체화하거나 새로운 금지행위 유형을 신설하고, 사업자 간 공정경쟁의 보호를 위한 판단기준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1 | 1.673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